관련 강의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안녕하세요.
행복을 실천 중인 행복실천입니다.
독모 후 몰아치는 팸데이와 체력 문제로 복기가 너무 늦어졌네요... 반성합니다.
25년 첫 돈독모 도서는 '김미경의 딥마인드' 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월부 내에서 하고 있는 것들과 이어지는 내용들이 담겨 있어서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늘 목표와 계획을 세워 달려 나가는 월부인들이 좌절하지 않도록
잇마인드가 아닌 딥마인드적 사고를 일깨우고 방향을 설정하는데 긍정적인 도움을 많이 줄 것 같습니다.
인상 깊은 구절
저는 이 책 초반부에 김미경 대표님의 어머니께서 말씀해 주신 이야기가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진짜 네가 누구인지 꼭 알고 살아라. 지우개로 지우고 새로 쓰는 네가 바로 너다.
몇 번이고 지워도 되니 겁내지 말고 다시 쓰거라."
과거의 저도 그랬지만 주변 사람들 중에는 고정 마인드를 가진 사람들이 참 많습니다.
'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니 그냥 이렇게 살래'
'저 사람은 원래 저런 사람이고 앞으로도 바뀌지 않을거야'
그런데 요즘들어 제가 많이 깨닫는 점이 있는데,
바로 월부를 시작한 후 제가 바라는 모습을 머릿속으로 계속 그리고 노력하다보니
실제로 제 자신이 이전과는 많이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물론 긍적적인 쪽으로요.
내 속에 잠재된 딥마인드를 깨워 이를 성장시키면 얼마든지 저는 새로운 사람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논의 주제 1: 게으름
목표와 계획을 잘 설정했어도 실행까지 이어지지 못했던 경험과 그 이유를 복기해보고, 목표와 계획이 실행까지 잘 이어지기 위한 나만의 노하우.
저희 독모조 분들은 대부분이 MBTI P 성향을 가지고 계셨는데요.
그래서인지 목표와 계획 세우는 것부터 다들 힘들어 하셨던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부 안에서는 계속 활동을 해 나가야 했기 때문에
이 환경 속에 있으려고 많이들 노력하고 계셨습니다.
저 역시도 이 환경 속에 있으면서 억지로라도 계획한 것들을 실행하기 위해 노력했는데요.
이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촘촘한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것 역시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직과사람님께서 평소에 작성하는 복기와 계획들을 보여주셨는데
진정 촘촘한 계획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 제가 계획한대로 실행까지 이어지지 못했던 것은 의지의 문제도 있겠지만
덜 촘촘한 계획도 한몫하지 않았나 싶네요.
그러나 이 모든 것 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것!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How가 아닌 Why를 찾는 것 같습니다.
어떤 이유에서든 투자를 처음 시작한 계기가 있고 초반에는 의지가 넘쳐서 시키는 대로
쉽게 따라갈 수도 있겠지만 1~2년이 넘어가면 시키는 대로만 할 수 없는 시기가 옵니다.
누군가는 이 시기에 슬럼프에 빠져서 괴로워할 수도 있고 힘든 일을 회피하고 싶은 마음에
월부를 떠나서 원래 살던 삶으로 다시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때 꼭 생각해 봐야 할 것이 '왜 해야하는지' 입니다.
각자 스스로 투자를 왜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알고 있다면 힘든 과정도 버텨내고
계속해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BM]
투자를 해야하는 명확한 이유(Why)를 생각하자.
논의 주제 2: 잇마인드
자산, 부동산 관련하여 과거에 잇마인드를 느껴본 경험이 있나요? 당시의 경험을 돌아보고 그것을 딥마인드적 사고로 어떻게 바꾸어 생각해볼 수 있는지.
저는 월부를 시작하고 나서부터는 잇마인드적 사고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잇마인드 그 자체가 맞다고 생각하고 투자를 시작했던 것이 떠올랐습니다.
저는 코로나 시국에 가족들이 우연히 부동산 투자로 돈을 버는 것을 보고 부동산이
정말 큰 돈이 되는구나를 깨닫고 큰 돈 벌고 싶다는 생각으로 부동산과 주식을 모두 함께 시작했습니다.
왜 돈을 많이 벌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없었습니다.
그냥 돈이 많으면 내가 하고 싶은 일들 맘 편히 하고 살 수 있으니 돈은 많을 수록 좋지라고 생각했던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투자에 대한 명확한 기준도 없고, 마음은 조급하니 큰 돈을 벌 수 있을리가 없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돈을 잃지 않은 것만 해도 감사한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의 잇마인드 투자 경험담들도 들어보았는데 그 결과는 역시 좋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큰 돈을 잃으신 분도 계시고, 아직 손실을 확정짓진 않았지만 회복하려면
긴 시간이 필요한 분도 계셨습니다.
조직과사람님께서도 월부를 잇마인드적 사고로 시작했다고 고백하셨는데요.
우리가 이해하기 쉽도록 잇마인드와 딥마인드를 구분해서 정리해주셨습니다.
저에게는 가장 눈에 띄는 구분점은 잇마인드와 딥마인드의 작동원리와 주요감정인 것 같았습니다.
먼저 잇마인드적 사고의 작동 원리는 남들과의 비교이고 딥마인드는 성찰입니다.
그리고 잇마인드의 주요 감정은 우월감과 열등감, 딥마인드는 자존감입니다.
일상을 살아가는 것 뿐만 아니라 투자에서도 남들과 비교하는 외적으로 과시하려는 마음 보다는
내적 동기를 가지고 본인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딥마인드적 사고입니다.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괴로워하고 떨치기 힘든 열등감과 부러움, 우월감 등은 빠지게 되고
책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자기 성찰을 통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게 됩니다.
투자를 할 때도 각자의 상황과 목표가 다른데 남들과 비교하며 더 많이 더 빨리 돈을 벌려고
하는 마음을 항상 경계하고 나만의 기준을 잡는데만 초점을 둬야 할 것 같습니다.
[BM]
조급함 금물, 단지의 가치와 가격에 집중하기
논의 주제 3: 행복
지금까지 느꼈던 나의 행복은 비교값과 절댓값 중 어디에 더 가까웠는지, 앞으로 절댓값의 행복을 느끼는 인생을 살기 위해 스스로와 어떤 대화를 나누고 싶은지.
마지막 논의 주제는 이야기 하면서 저와 비슷한 분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도 좋았지만 다른 성향을 가진 분들의
경험담도 듣고 다양한 방향으로 생각해볼 수 있어서 더 유익했습니다.
저는 과거에 소비의 삶을 살았기 때문에 주변에 비슷한 사람들이 많았고 정말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들도
많이 만날 수 있다보니 그들을 보면서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그래서인지 더 돈을 많이 벌어서 더 많이 쓰고 싶다는 그런 잇마인드적 사고가 강화되었던 것 같습니다.
월부 활동을 시작하고 초반에는 모든 목표가 돈으로 시작해서 돈으로 끝났었는데,
지금은 마인드가 많이 바뀌어서 돈 보다는 내 자신의 성장, 가족과 주변 지인들과의 행복과 조화 위주로
초점을 맞추어 매일 아침 긍정 확언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감사와 칭찬을 통해 마음의 평안과 행복을 느끼는 삶을 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남들과 비교하던 그때의 삶보다는 더 알뜰하게 아끼고 살지만 나의 목표가 확실한
지금의 삶이 더 행복합니다.
저와 다른 성향을 가진 제제님께서는 과거에도 늘 무언가를 추구해 왔고
본인이 성장하고 발전한다 느낄 때 행복을 느끼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월부에서 하는 활동들이 버겁고 힘들지만 즐겁고 만족스럽기도 하다고 하셨어요.
저는 성장과 발전 자체에 큰 집중을 하는 스타일이 아니였던지라 제제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많이 반성하기도 했던 것 같아요.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서 본인의 성장과 발전을 추구함으로써 투자 실력이 더 큰 폭으로 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제님 화이팅입니다!!
그리고 조직과사람님께서는 우선순위에 대해서 말씀해주셨는데요.
1번이 가족들의 행복이라 하셨습니다.
분명한 본인의 꿈이 있지만 그것은 본인의 목표일 뿐 가장 우선시 되는 가족들의 행복이
채워지지 않는다면 다음으로 넘어갈 수 없는 것입니다.
"천천히 가더라도 목표를 달성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목표와 함께
본인의 상황을 잘 인식하고 앞으로 계속 나아가기만 하면 됩니다."
저도 남들과 비교하는 삶에서 완전히 벗어나서 나의 행복 절대값을 우선순위에 두고 목표를 향해
꾸준히 달려나가고 싶습니다.
[BM]
속도가 아닌 우선순위를 먼저 생각하기
25년 첫 독모를 멋지게 이끌어 주신 ❤️조직과사람님❤️
함께 이야기 나눠주신 ❤️열배1님❤️, ❤️샌디님❤️, ❤️제제님❤️, ❤️6시내고양이님❤️ 감사합니다.
댓글
크 후기 알차당 행복님 고생하셨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