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투자공부방

더 중요한 역과 덜 중요한 역 - 역과 선호도 [에스더케이]

25.01.24

 

 

안녕하세요,

에스더케이입니다 :)

 

서울/수도권에서 가장 중요한 입지 요소가

'교통'인데요.

 

그래서 각 단지의 가치를 볼 때,

첫째, 역세권 인지?

둘째, 어떤 역 접근성이 좋은지?

살펴 보게 됩니다.

 

오늘은 서울 임장을 하며

중요한 역과 덜 중요한 역에 대해

생각해 본 경험을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1. 같은 9호선이여도 급행이어서 더 중요했던 염창역

 

강서구에서는 마곡 지구를 품고 있는 마곡 생활권 다음으로

9호선과 목동 접근성이 좋은 염창 생활권 선호가 높은데요.

 

난개발되고 100~300여세대의 구축 단지들이 주로 밀집한

염창 생활권에서 가장 중요한 역은

1. 업무지구(강남,시청,여의도)와 가장 가까우면서

2. 급행역인

염창역이었습니다.

 

 

[9호선 노선도]

9호선급행.png

출처: 서울시메트로

 

 

강서.png

 

염창역 역세권 단지

염창한화꿈에그린1차 (2005년식, 422세대, 염창초 배정)

 

등촌역 역세권 단지

염창롯데캐슬 (2005년식, 284세대, 염창초 배정)

 

비교 시,

세대수 차이가 있긴 하지만 한화꿈에그린1차가

항상 높은 매매가/전세가를 형성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강서구비교1.png

 

강서구비교2.png

 

 

보다 구축 단지를 비교해도,

염창역 역세권 단지

태진한솔 (1994년식, 356세대, 염창초 배정)

등촌역 역세권 단지

염창우성3차 (1993년식, 196세대, 염창초 배정)

비교 시 세대수 차이가 있긴 하지만 태진한솔이

항상 높은 매매가/전세가를 형성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강서구비교3.png

 

강서구비교4.png

 

 

한 정거장 차이여도 더 중요한 역 접근성이

가격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결국 거쳐가야 해서 중요했던 성신여대입구역

 

성북구에서 가장 선호도가 떨어지는 생활권은 정릉 생활권인데요.

언덕, 떨어지는 4호선 접근성이 거주 만족도를 낮추는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아예 역이 없는 것은 아니고 우이신설선이 지나기 때문에,

바로 인근 단지들은 '역세권' 메리트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요.

 

여러 부동산 사장님들과의 대화를 통해 파악한 것은

'우이신설선'을 언급하시는 사장님들 보다

'4호선, 그 중 성신여대입구역'을 이용한 출퇴근을

언급하시는 사장님들이 훨씬 많으셨다는 것입니다.

'성신여대입구역 인근이 거주지 마지노선이고 더 위쪽으로는 안 간다'

말씀하시는 사장님도 계셨는데요.

 

 

[2024년 11월 기준, 우이신설선 정릉역,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이용도]

호선명지하철역

오전6시~9시

승/하차인원

오후 5시~8시

승/하차인원

4호선성신여대입구(돈암)198,436332,528
우이신설선성신여대입구(돈암)27,58255,654
우이신설선정릉50,91763,094

 

 

출퇴근 시간 승/하차 인원만 봐도 큰 차이가 느껴지는데요.

 

그것도 그럴 것이,

우이신설선을 이용하면 2, 3, 4호선 등

다른 노선으로 갈아 타야 하는데

4호선 이용시 2호선으로만 갈아타면 되기 때문에

주로 버스를 타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으로 가서

출퇴근 하기 때문인데요.

 

 

[정릉, 돈암 생활권 단지 ~ 강남역 교통편]

갈아타기1.png

 

갈아타기2.png

 

갈아타기3.png

 

갈아타기4.png

 

 

그래서 정릉, 돈암 생활권 대부분의 단지들은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이 얼마나 가까운지가 중요합니다.

 

성북구.png

 

 

우이신설선 정릉역 역세권 단지

중앙하이츠빌2단지 (2005년식, 745세대, 정수초 배정)

돈암일신건영휴먼빌 (2005년식, 689세대, 정덕초 배정)

 

성신여대입구역 역세권 단지

브라운스톤돈암 (2004년식, 1074세대, 정덕초 배정)

동소문한신휴플러스2차 (2004년식, 409세대, 돈암초 배정)

 

비교 시,

배정 학교, 세대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성신여대입구역 인근 단지들이

항상 높은 매매가/전세가를 형성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성북구비교1.png

 

성북구비교2.png

 

 

해당 지역에서 어느 역이 더욱 중요한지 알아 두면 좋겠지요.

 

 


 

 

우리가 보는 서울의 아파트는 모두 가치가 있고,

그래서 우선 순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배웠는데요.

그만큼 작은 차이도 알수록 힘이 되는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아는 지역을 한 곳 한 곳 넓혀갈수록

왜 어떤 노선이 다른 노선보다 더 중요한지

체감하게 되는 것 같은데요.

 

핵심은 '이 지역 사람들은 어떻게 출퇴근하는지?'

감정이입해서 생각하고,

'역세권이라고 다 같은 역세권이 아니구나'

생각하며 더욱 디테일하게 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에스더케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