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니캉내캉]돈버는 독서모임-부동산 트렌드2025

  • 25.01.28

책제목: 부동산 트렌드 2025, 

             김경민,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저재훈 지음

읽은날짜: 1월 25일

핵심키워드: #서울 아파트 #공급부족 #전세상승 #매매상승 #슈퍼사이클

도서 점수: 7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김경민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하버드 도시계획 부동산연구 박사)가 2025년 부동산 전망을 내놓는다

     

  2. 내용 및 줄거리

     

    AI기반 일주일 단위 부동산 가격지수 개발, 단기 이동평균선, 장기 이동평균선 통해 골든크로스(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뚫고 오르는 슈퍼사이클 시작 확인(매매거래 비중 증가)

     

    서울 아파트 시장 N파고(상승-조정-재상승) 등장, 이에 지방부동산시장 서울과 디커플링 상태

     

    상승세 퍼지는 지역이 다르다

    수도권 동남부: 강남구 vs 성남시 분당구, 용인시 수지구

                             동조화현상, 강남 중심으로 인접지역 비슷한 패턴, 가격변동

    수도권 서북구: 마포구 vs 고양시 일산동 서구, 파주시

                            일산, 파주 독립적 직장 근접성 떨어지기에 마포와 다른 특성을 보임, 독립적 시장

    수도권 서남구: 양천구 vs 안양시 동안구(평촌신도시), 김포시

                            목동 양천구와 동조화현상 가능성 시사, 추후 시간을 두고 살필 필요 있음

    수도권 동북구: 노원구 vs 의정부, 남양주시

                            하락을 멈춘 보합상황

     

    서울시구별 아파트 매매시장 동향

    고가아파트 시장-강남구, 서초구

    중저가아파트 시장-노원구, 도봉구,성북구

      1) 고가와 중저가 아파트 상승의 시차가 존재한다

      2) 고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권역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3) 중저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비동조화 가능성이 있다

       

     서울시 아파트 공급부족

     2010~2021년 연 평균 공급양 33,773세대를 크게 밑도는 25년 2만 6000세대, 26년 1만 2000세대

     파급효과 1) 서울시 주택 가격이 상승한다

                    2) 전세 및 월세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인플레이션, 입주물량 부족-임대료 상승, 우상향 전세금, 

                    3) 주거 안정성 악화

 

      시점의 문제, 금리인하

      역대급 공급부족, 낮은 금리, 모든 요소가 부동산 가격 상승을 가리키고 있다

 

대장단지

종로구-경희궁자이, 

강동구-고덕그라시온+아르테온

송파구-헬리오시티,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강서구-마곡엠밸리

성동구-왕십리뉴타운

중구-남산타운

마포구-마포래미안푸르지오

서대문구-DMC파크뷰자이

관악구-관악드림타운

서초구-반포자이

강남구-도곡레슬

 

 3. 나에게 유용한 점, 느낀점

    그동안의 정보를 정리 취합, 하락 보합이라고 생각한 2025년 예상보다 빠른 상승장이 올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습니       다.

 4.  논의하고 싶은 점

      저자의 말처럼 서울아파트 슈퍼사이클에 진입했다면 서울 시장 투자시기와 지역은 어디가 적합한지

 

 

 

 

 

 


댓글


니캉내캉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