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진득하게 자산을 모아갈 젠하입니다.😊
4강은 게리롱 튜터님의 비교평가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원래는 강의를 최임 이후에 들을까 하다가…
딱 임보의 결론 파트를 쓰는 이 시점에
강의 내용이 도움이 될 것 같아
미리 당겨서 들었는데요
역시 미리 듣길 잘한 것 같습니다 ㅎㅎㅎ
비교평가는 결국 가치있는 것들 중
가격이 저렴한 것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이미 꼭지를 찍고 하락한 지금
저평가를 찾아내기 위해 전고점 대비 하락률을 참고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우리는 전고점이 없는 시기에도 투자를 해야한다”고 말씀해주신 내용이
굉장히 와닿았습니다.
지금은 전고점이 있어 전고점을 참고자료로 쓰지만
시간이 흘러 가격이 회복해서 전고점이 없어진다면?!
이후를 대비해서라도
전고점에 과하게 의지하면 안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역 내 비교평가를 진행할 때는
입지(위치) + 상품성(연식, 브랜드, 대단지) + 선호요소(학군, 환경, 커뮤니티 등) 을 저울질 해보고
지역 간 비교평가를 진행할 때에는
도시의 체급 → 생활권 선호도 → 생활권 내 단지 선호도 로 생각해보기 !
이전에 들었던 강의내용을 참고하여
지역 내 비교평가를 나름 잘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뭔가 또 감+그래프 비교로 하고 있지는 않았다 싶네요 ㅎㅎ
다시 튜터님이 알려주신 대로
입지 + 상품성 + 선호요소를 하나하나 따져보며 비교해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돈+시간+노력들여 만든 앞마당을 잘 관리해야겠죠 !!
시세트레킹, 시세스캐닝으로
앞마당 가격 변화를 잘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무엇보다 시세그룹핑!!
저번에도 배웠지만 막상 실천하지는 않았던 내용인데요 …
계속 “해야하는데.. 해야하는데..”하고 미뤘던 건데
튜터님 강의 듣고 이번 최임 때는
앞마당 시세그룹핑 (5분위 시세표)를 꼭꼭 만들어보려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댓글
젠하v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