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통장, 그냥 돈만 붓고 있나요? 300만원 이상이면 바로 'OO OO'하세요!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내 집 마련과 

행복한 노후를 돕는 김다랭입니다.


오늘은 그동안 많은 분들과 코칭을 하면서

짚어드렸던 청약통장의

잘못 알고 계신 부분을 바로 잡아 드리려고 합니다.

 

 

I 유주택자인데, 청약통장에 

  매월 OO만원 씩 납입하고 계신가요?

 

"OO님, 청약 통장 잔액이 500만 원이신데,

 어떻게 관리하고 계실까요?"

 

“그냥 두긴 뭐해서 매월 10만원씩 납입하고 있어요.”

 

“그러시군요. 혹시 왜 매월 납입하고 계세요?”

 

“이전부터 납입했던 게 습관이 돼서 그냥 넣고 있어요”

“혹시 나중에라도 청약통장을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넣고 있어요”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서도

위와 같은 이유로 청약통장에

돈을 계속 넣고 계신 분들이 많으시죠?

 

제가 코칭을 하면서 만나본 분들 중

청약 통장을 갖고 계신 분들 중 90%는

특별한 목적 없이 그냥 돈을 붓고 있는 경우였습니다.

 

물론,

✅ 공공청약 기회를 노리거나

✅ 무주택 세대주로서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을 받거나

 

위 2가지에 해당된다면 

매월 납입하는 것이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 이미 주택을 보유하고 계시거나

❌ 공공분양 청약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

계속 납입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습니다.

 

특히 이미 주택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민간분양 청약에서도 가점제 보다는 

추첨제를 노릴 수 밖에 없는데요.
 

아래 ‘예치금액 기준’을 충족하셨다면,

추가 납입을 중지하는 것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역/전용면적별 예치금액’

                                                                           (단위 : 만원)

구분

서울/부산

기타 광역시

기타 시/군

85m² 이하

300

250

200

102m² 이하

600

400

300

135m² 이하

1,000

700

400

모든 면적

1,500

1,000

500

※ 지역은 입주자모집공고일 현재 

청약 신청자의 주민등록표등본상 거주지 기준

 

 

Q 납입 중지 방법은?

청약 통장과 연동된 자동이체 설정을 해지하면 됩니다.

추가 이체 없이 유지만 하면 됩니다.

 

 

 

I 국민주택 청약에 당첨되려

  얼마를 납입해야 할까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비교'

청약통장

지역

국민주택

(공공분양)

민영주택

(민간분양)

필수 가입 기간

투기과열지구

24개월 이상

수도권

12개월 이상

수도권 외

6개월 상

납입 횟수

투기과열지구

24회 이상

X

수도권

12회 이상

X

수도권 외

6회 이상

X

해당자

투기과열지구

무주택 세대주만

1주택자도 가능

수도권

무주택 세대주나 세대원

유주택자도 가능

수도권외

무주택 세대주나 세대원

유주택자도 가능

지역별 

예치금

 

X

O

※ 투기 과열지구 : 강남3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및 용산구 / 23년 1월 5일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모두 1순위 조건은 동일하지만, 

청약 당첨을 위해 중요한 요소가 다르다는 점을 기억해야 하는데요.

 

국민주택 : 필수 가입 기간 + 납입 금액&횟수 중요

민영주택 : 필수 가입 기간 + 예치금이 중요

 

이처럼 국민주택은 납입 금액과 횟수가 중요한데요.

 

 

 

 

작년 11월 부터 청약 납입 인정 금액이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상향됨에 따라,

매월 25만 원 납입 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민영주택은 청약통장의 가입 기간이 중요하지만,

      국민주택은 가입 기간뿐만 아니라

      납입 인정 금액이 높아야 유리합니다.

 

 

 

다만 위 기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공분양 청약은 당첨이 쉽지 않은 편입니다.

따라서 장기간 무주택을 유지해야 하는 투자 기회비용

신중히 고려해야 하며,

청약 전략을 세울 때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I 청약통장을 해지하고 

  투자금으로 활용할까요?

 

어차피 청약통장을 활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고,

투자를 위해 청약통장을 해지하고 투자금으로 활용할지 

고민하는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특히 청약통장에 1,000만 원 이상 쌓여 있다면

더더욱 고민이 깊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저는 아래 2가지를 고려해 볼것을 추천드립니다.

 

✅ 1. 투자금 활용 투자 계획 유무

  • 당장 투자금을 활용할 계획이 없다면, 

    정부 정책이나 시장 변화에 따라 

    청약 제도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니 

      해지보다는 일단 유지할 것

   

✅ 2. 해지 대신 청약담보대출 한도 및 금리 확인

  • 청약통장을 해지하면 다시 만들 수는 있지만, 

    기존의 납입 횟수 및 가입 기간이 사라지게 됩니다.

  • 은행마다 다르지만, 

      대출 한도는 담보 예금의 90~95%까지,

      중도 상환 해약금은 없으며

      이자는 예금 금리 기준 +1.0~1.5%입니다.

  •  또한, 청약(예금) 담보 대출은 

       DSR 규제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비상금이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단, 25년 7월 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시행되면

     청약 담보 대출도 적용 받게 되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당장의 투자 기회와 장기적인 청약 기회를 비교하면서,

본인의 투자 목표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 지금 청약 통장이 없는데,

  가입하는 것이 좋을까요?

 

“어차피 나는 투자 할건데..”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에서도 

청약통장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가입하지 않은 분들도 계실 텐데요.

 

저는 단 2만 원이라도 넣어서 

청약통장에 가입해 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향후 청약 제도가 어떻게 개편될지 예측할 수 없습니다.
(과거에는 1순위 자격자가 청약에서 

6번 이상 떨어지면 ‘0순위 우선 당첨권’을 

주는 제도도 있었답니다!)

 

작은 금액이라도 미리 가입해 두면

훗날 예상치 못한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오늘은 청약 통장 활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설 연휴의 마지막 날!

모두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user-avatar
큰꿈바라기user-level-chip
25. 01. 30. 08:45

설 연휴에도 감사합니다 :) 👍

user-avatar
도리밍user-level-chip
25. 01. 30. 08:51

튜터님 청약통장 관련 좋은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복 많이받으세요🤍

user-avatar
뿌라운user-level-chip
25. 01. 30. 08:52

튜터님 청약통장의 a to z를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