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낀점--왜 비교평가를 해야 하는지
가치 대비 가격이 싼 물건을 골라내기 위해서 우리는 비교평가 필요하다.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점을 알고 이해하며 받아들여야 한다.
1. 입지독점성이 다르다.(변하지 않는 땅의 가치)
2. 땅의 가지가 있는지 없는지
3. 대중교통과 자차의 차이
임장과 임보로 가치를 파악 후 가격을 확인하면서 저평가를 판단해 본다.
하지만 지방 가치비교 평가에 대하여 항상 어려움을 갖고 있다.
아래 방법대로 가치에 대한 생각을 해보고 그다음 가격을 확인해서 가치를 확인해 본다.
1. 가격을 고정한 후 가치 비교 = 같은 가격인데 더 좋은 생활권이 어딘지? 확인!!
2. 가치를 고정한 후 가격 비교 = 같은 가치인데 더 싼 단지는 어디지? 확인!!
가격 그래프 활용방법
1. 같은 지역 내에 단지 비교(생뚱맞게 다른 지역 단지는 X)
2.5년 이상 된 단지로 비교(그래야 신축에 힘인지 입지 힘인지 비교 가능)
3. 비교 단지는 2개씩만(여러 개 비교해 봐야 모른다. 2개씩 하고 어느 부분이 붙어 있다가 어느 순간에 날아가는지 볼 수 있다.)
항상 하는 질문이다. 지방 30평 vs 20평? 지방 20평 투자해도 될까요?
그렇다면 반대로 30평과 20평 단지들이
압도적인 입지 독점성 있나?
신축 또는 브랜드 또는 대단지?
조건으로 판단을 해보고 위 조건에 둘 다 부합하지 않으면? 그럼 패스
20평과 30평 비교 시 확실한 입지 독점성이 있는지 또는 신축, 브랜드, 대단지
30평을 이길 수 있는 요소가 있는지 Check
지역 간 비교 시 지방은 체급이 깡패다.
인구수많은 게 깡패다.
하지만 체급차이를 극복하는 힘은 대체 불가능한 학군, 직장이다.
그리하여 위상과 체급을 결정하는 3가지 오소
도시의 체급(인구수 즉, 수요), 경제력(양질의 직장, 고소득, 구매력), 압도적 1등 (학군, 직장)
시세 트스핑
시세 트래킹 = 앞마당에 옵저버 보내기!
시세 스캐닝 = 앞마당에 시세는 퀵으로 쓱쓱 보면서 튀는 가격 하나씩 점검
시세 그룹핑 = 비슷한 가격대로 단지를 묶어서 선호도와 가격 변동을 점검
투자란? 실력이 없으면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자산을 지키는 방법이다
실력이란 앞마당이며 앞마당이 없으면 투자에 대한 방향을 잡을 수 없기에 하지 않기를 바란다.
또한, 종잣돈이 얼마나 있냐에 따라서 서울/수도권+지방 or 지방 결정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가장 잘 알거라 생각하니 생각해 보시길 바라며 제발 동료들과 비교는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적용할점--
1. 삼시시세 - 시세 트스핑 매월 적용해 보기
2. 실력(8개 늘리기) 해보는 25년 되기
3. 그래프 활용 익숙해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