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 5명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4.02.04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슈퍼사이클 #PF #부동산전망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9
1. 저자 및 도서 소개
:김경민 글작가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부동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지은 책으로는 빅데이터로 부동산 시장을 분석한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와 『부동산 메가트렌드 2020』, 도시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도시개발, 길을 잃다』, 익선동의 가치를 재조명한 『리씽킹 서울』, 북촌을 개발한 기농 정세권 선생을 다룬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등이 있다.〈조선일보〉에 월 1회 ‘김경민의 부트캠프’를 연재하고 있으며, SBS 〈교양이를 부탁해〉, MBC 〈손에 잡히는 경제 플러스〉, KBS 〈머니올라〉 등 다양한 미디어에 컨트리뷰터로서 정기적으로 출연 중이다. ‘김경민의 노트’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부동산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PART 1. 2024년 부동산 시장 다시 보기
2024년 부동산 시장은 예측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는 ‘N자 반등’현상, 일부 지역에서 가격 상승의 ‘골든 크로스’가 발생했다.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매물 부족과 대기 수요가 가격을 견인했다.
수도권 외곽 지역과 지방시장은 회복 속도가 다소 느렸다.
국고채 금리 하락 시나리오
PART 2.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아파트 가격은 주식과 달리 한 방향으로 흐름이 정해지면 장기적으로 움직인다.
강남, 분당, 수지 수도권동남부 매매가격의 흐름 밀접한 관련
강남, 마포, 용산 등 인기지역은 여전히 높은 수요 유지, 경기인천 지역은 입주물량과 교통호재에 따라 차별화된 흐름. 지방은 일부 반등조짐이 보이지만, 인구 감소 문제로 인한 약세
PART 3. 2025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TOP6
슈퍼사이클_서울 아파트 대세 상승의 신호탄
인플레이션_부동산 상승의 기폭제
전세가격 폭등_매매로의 전환을 이끌다
PF사태_정책 실패와 최악의 공급 부족
공급 절벽_정확히 얼마나 심각한가
퍼펙트 스톰_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의 협공
PART 4. 12개 대장 단지 상세 리포트
강남, 서초, 용산 등 전통적 부촌의 가격 상승세 유지, 마포, 성동, 동작 등 신흥 인기지역 수요 강세
반면 송파, 노원, 강북 등 일부 지역 조정국면 (24.7월) GTX개통과 교통호재 예정지역(왕십리, 하남, 남양주)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 전망
PART 5. 2025년 부동산 가격 대예측
금리 인하 기대감과 공급부족이 맞물려 가격 상승 가능성이 있지만 경기 침체와 정부정책 변수로 인해 시장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 2025년 하반기부터 수도권 중심으로 매수세가 강해질 가능성, 지역별로 차별화된 가격흐름이 나타날 전망
PART 6. 주목해야 할 ‘핫 플레이스’
GTX-A,B,C 노선이 지나는 지역(삼성, 의정부, 평택), 서울 도심재개발(한남, 흑석, 영등포), 3기신도시(남양주, 하남, 부천) 등 투자유망지로 꼽힌다. 또한 기업,산업단지가 조성되는 지역(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청라국제도시)도 중장기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24년 7월과 7개월이 지난 지금은 또 분위기가 다른 것 같다. 슈퍼사이클의 시작이라고 하는데 사실 지금은 잘 모르겠다.
12개 대장단지들 나눠서 보면서 숫자가 너무 많이 나와서 어지러웠지만 대장이라고 해도 지역마다 다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는게 인상적이었다.
정책에 대한 부분도 시장에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는 걸 깨달았다. PF대출 연장이나, 여러 특례대출 등 정부의 시장개입에 대한 부분도 거시적인 면에서 바라볼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수도권을 보고 있는 지금. 지방은 아니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전문가들마다 의견이 다른 것 같다. 지방이 엄청 싸다는 건 다들 인정하는 것 같은데 투자관점에서 매력적으로 보지 않는 것 같다. 나도 수도권에 자산을 사고 싶지만 그건 그냥 희망사항이고 돈을 더 벌 수 있는 곳을 선택하는 게 맞는 것 같다.
댓글
하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