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독모_긴지구] 부동산트렌드2025 독서후기

1. 저자 및 도서 소개 

  • 부동산트렌드2025 - 명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장을 예측해보는 책

 

2. 내용 및 줄거리 /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내용 요약 / 알게된 점 - 22~23년 하락장을 거치면서 24년 2분기부터 상승 모멘텀을 보이는 지역, 단지들이 증가하고 있음. 우려할만한 공급부족에 따른 전세 상승, 금리 인하 등을 거치면서 대세 상승장을 맞이할 수도 있다는 내용. 

  • 느낀 점 - 부동산은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생각을 했다. 비록 명확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는 책이지만, 이후 예상치 못한 정치적 이슈 등으로 시장이 책이 발간될 당시와는 또 다르게 변했기 때문이다. 물론 전반적인 큰 틀과 흐름은 바뀌지 않을 수 있지만 투자는 데이터를 통한 예측뿐 아니라 상황에 맞는 대응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3. 책의 인상깊었던 점 (본깨적)

 

p.136 한 지역의 가격 상승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고가 지역 전체의 아파트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동조화 현상은 고가 지역의 부동산 시장을 더욱 동질화하며 가격 상승의 폭을 넓히고 있다.

  • 깨) 최근 이슈가 되는 양극화 현상이 동조화 현상으로 더욱 견고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 적) 가격의 흐름이 어떻게 퍼지는지 함께 생각해보아야겠다. 단순히 지역의 인접이 아닌, 서로 동조화 하는 돈줄(?) 의 흐름을 생각해보아야겠다. (강남-분당)

     

p.121 강남구는 이미 재건축이 완료된 단지들이 많아진 반면, 서초구는 최근에 신축 단지들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 따라서 신축 프리미엄이 붙는 경우 서초구의 아파트 가격이 강남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아질 수 있다. 서초구에 새롭게 재건축된 단지들이 많아짐에따라 더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 깨) 강남구 자체로만 프리미엄이 있는 것은 아니고, 더 주거환경이 좋아지면 서초구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도 있겠구나.

  • 적) 반드시 위치적인 장점만 생각하지 말고,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주거 환경인가, 혹은 프리미엄/프라이드를 가질 수 있는 지역인가도 함께 고려해보는 투자자가 되어야겠다.

 

p.208 전세

상승기 11년~22년 2분기

하락기 22년 2분기~23년 1분기

상승기 23년 2분기~현재

전세가격이 이렇듯 인플레이션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우상향하고 일시적 급락을 했음에도 다시 급반등해 이전 최고가에 근접했다고 했을 때, 투자를 지향하는 시장 참여자들은 ‘전세는 매우 안전한 상품, 즉 가격 하방경직성이 강한 상품’ 이라는 인식을 하게된다. ~ 전세 가격을 지속적으로 올림으로써 현금 수입을 챙기고 동시에 매매가격 상승(실현되지 않은 이익)의 과실까지 얻는 것이다. 즉 실현 수입과 미실현 수입이 동시에 발생하는 구조다.

  • 깨) 전세는 생각보다 꾸준히 상승했으나, 급락을 거치기도 하는구나

  • 적) 전세가 장기적 우상향, 안전하게 상승할수는 있지만 하락을 거치기도 하니 역전세에 대한 대비는 늘 해놓아야겠다

 

p.247  부동산 개발은 기본적으로 디벨로퍼가 이끄는 사업이기에, 사업이 망가지는 경우 디벨로퍼가 책임을 지는 것이 맞다. 경기가 좋을 때는 어마어마한 수익을 얻으며 이익을 사유화하는데, 자신들의 잘못된 판단으로 발생한 비용은 그 파급력이 크다는 이유로 사회에 도움을 요청하는 구조는 옳지 않기 때문이다. (이익의 사유화와 비용의 사회화)

  • 깨/적) 완전 공감… 하지만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기 전 구조적 개선을 꼭 해야할 것 같다

 

p.292 동북권에서 3년간 나올 물량은 전체의 40% 다. 따라서 동북권과 서초구에서 나오는 물량이 전체의 79%이다. 그렇다면 서울 서쪽 지역의 구는 절대적으로 입주 물량이 부족한 상황에 처할 것이다.

  • 깨) 동북권 입주가 많다고는 느꼈지만 전체의 40% 수준일줄은 몰랐다

  • 적) 전세가가 낮아지면서 매매가도 싸질 수 있다는 점, 오히려 서쪽은 전세가가 함께 올라갈 수 있다는 점. 모두에게 기회가 있다고 생각하고 시세는 늘 트랙킹 해야지.

 

p.136 한 지역의 가격 상승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고가 지역 전체의 아파트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동조화 현상은 고가 지역의 부동산 시장을 더욱 동질화하며 가격 상승의 폭을 넓히고 이다.

  • 깨) 최근 이슈가 되는 양극화 현상이 동조화 현상으로 더욱 견고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 적) 가격의 흐름이 어떻게 퍼지는지 함께 생각해보아야겠다. 단순히 지역의 인접이 아닌, 서로 동조화 하는 돈줄(?) 의 흐름을 생각해보아야겠다. (강남-분당)

 

p.294 부동산 가격은 공간시장과 금융시장의 두 부분에서 영향을 받는다. 공간시장은 다시 한 번 부동산 시장의 수요와 공급 측면으로 나뉜다. 부동산 ‘수요’ 란 해당 도시의 거주민 혹은 가구수와 이들의 소득 수준이다.

  • 깨/적) 부동산 가격을 공간시장, 금융시장으로 나누어서 보는 부분이 흥미로웠고 유익했다.

 

p.484 강남에서 강북지역 아파트로 가격이 전파되는 것과 더불어 살펴볼 부분은 신축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의 가격 차이다. 현 시점에서 신축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다르며 특히 젊은 세대의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는 매우 크다. ~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향후 아파트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면 구축 아파트 역시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다.

  • 깨/적)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분명하고 명확하지만, 거주에 대한 수요라는 점에서 구축 아파트도 분명 상승장때는 함께 압력을 받을 것이라 생각했다.

 

p.511 요일을 불문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상권일수록 트렌드 변화에 따른 상업공간의 생애주기가 더욱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4.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121 강남구는 이미 재건축이 완료된 단지들이 많아진 반면, 서초구는 최근에 신축 단지들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 따라서 신축 프리미엄이 붙는 경우 서초구의 아파트 가격이 강남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아질 수 있다. 서초구에 새롭게 재건축된 단지들이 많아짐에따라 더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논의주제) 나라면? 이라는 가정을 하면 놓치지 않고 싶은 입지요소가 있는지 이야기 나눠보고 싶어요.


댓글


긴지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