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지투23기 지금 지방 싸다쟈니~ 그럼 지방 4야쟈니❤ 이파리] 부동산트렌드2025 독서 후기

  • 25.02.07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부동산트렌드2025
  2. 저자 및 출판사: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정재훈
  3. 읽은 날짜: 2025.02.06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Part2. 1장. 서울 아파트 시장, N파고의 등장과 슈퍼사이클 돌입]

아파트 가격은 주식과 달리 한 방향으로 흐름이 정해지면 장기적으로 움직인다.

근래의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는 미래를 예측하기에 부족하다. 장기적인 추세를 살펴보고 그래프가 언제 바닥을 다지고 언제 상승하는지를 보수적으로 확인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현재 시장이 봄,여름,가을,겨울 중 어느 시장인지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흐름만 보는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추세를 봐야겠구나

 

[Part2. 1장. 전국 광역시 부동산은 어떻게 될까?]

서울시 부동산 시장이 상승에 진입했다면, 전국의 다른 부동산도 이 흐름을 따라 가는 걸까?

서울시와 전국 광역시(인천과 경기도 제외)의 가격 흐름에는 2020년 팬데믹 이전까지 큰 차이가 존재했다.

[2010년~2012년]

전국 광역시 :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인천을 제외한 대부분의 광역시는 가격이 상승했다. 이는 지방의 경제 상황이 서울과 달랐기 때문이다.

[2015년~2019년]

전국 광역시 : 서울의 상승기 동안 부산과 울산 등은 가격이 하락하거나 정체되었다. 울산을 포함한 경남권은 조선업 쇠퇴 등 지역 경제와 연관이 깊었다.

이처럼 2010년대 서울시와 전국 광역시의 가격 흐름은 상이했다. 그러나 2020년 이후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기준금리가 0.5%로 급락하면서 시장에 많은 유동성이 공급되자 전국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 금리가 1% 이하로 하락하고, 시장에 유동성이 공급되면 대세상승장 시기가 시작되고, 전국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기도 하는구나, 그리고 하락장이 되고 나서는 다시 개별적인 흐름을 보여주네

 

[Part2. 2장. 수도권 서북부_마포,일산,파주]

특정 지역의 주택 가격 상승률에는 그 지역의 개발 가능성, 공급량, 수요와 공급의 균형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들이 모여 각 지역의 위계를 형성한다.

→ 지역의 개발 가능성이라는것은 입지 독점성이라는 의미로 대체해볼 수 있을것 같다.

 

[Part2. 3장. 노도성(노원구,도봉구,성북구)_중저가 아파트 시장]

노도성 지역이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가격이 정체되고 있는 이유는 몇 가지 중요한 요인들 때문이다.

우선 이 지역은 강남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또한 여의도로의 접근성도 좋지 않다.

노도성 지역에서 접근할 수 있는 주요 직장 중심지는 광화문 정도다. 광화문은 정부 기관과 대기업 본사들이 위치한 지역이지만, 광화문만으로는 이 지역의 부동산 수요를 충분히 끌어올리기에 부족하다. 아파트 시장은 일반적으로 직장 중심지로의 접근성에 따라 가격이 변동한다.

→ 서울에 있고 교통이 아무리 개선 된다고 해도, 물리적인 위치는 결코 바뀌지 않는 요소이기 때문에, 경기도라고 해도 강남 접근성이 더 좋은 분당, 과천, 평촌이 주거지로써 더 높은 가치를 가질 수 밖에 없는것

이것을 수원과 동탄, 일산,파주에 적용해보면 GTX로 서울 접근성이 좋아질 지라도 결국은 물리적으로 너무 멀리 있다는것 이것이 극복할 수 없는 차이를 만들어내는것 같다.

 

[Part3. 2장. 시공비는 내려간 적이 없다]

인플레이션이 오는 경우 원자재 가격 상성, 임금 인상, 대출 비용 증가 등으로 전체 시공비가 상승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결과다. 관건은 시공비 상승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이의 파급 효과(건설 지연 및 인허가 물량 감소)가 얼마나 클지다.

현재 우리나라의 시공비 상승 수준은 전년도 동월 대비 시공비 상승률을 볼 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2008년 10월 전년 동월 대비 17% 인상 폭을 기록한 후, 2010년대 평균 상승률은 3.3%에 불과했다. 그러나 2020년 이후 팬데믹의 여파와 글로벌 공급망 붕괴로 2021년 11월 시공비 상승률은 무려 14.2%에 달했다.

→ 신규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아파트 시장에는 두 가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1. 신축 아파트 물량 공급이 과거에 비해 적어, 신축 아파트가 구축 아파트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을 갖게 된다.
  2. 신축과 구축 아파트 간의 가격 차이가 지나치게 벌어지는 경우, 사람들은 약간의 불편을 감소하거나 혹은 약간의 추가 비용을 들여 리모델링을 하는 선에서 구축 아파트 매매로 돌아설 수 있다.
  3.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이 책의 저자들이 발품을 얼마나 팔았을지는 모르겠지만 손품만으로도 이정도의 인사이트를 뽑아낼 수 있다면, 발품까지 더해진 정보는 정말 확신을 줄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음.
  2. 사람들의 선입견과 다르게 강남과 강북 아파트의 장기적인 누적 상승률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점 그래서 결국 서울에 있는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는것 자체가 장기적으로 우상향을 의미한다는것을 알게 되었음.
  3.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서울 아파트의 가격이 골든크로스(Golden Cross) 상태를 넘어 다시 한번 전고점들을 넘어가기 시작했을 때 지방 아파트들은 어떤 움직임을 보일 것인가 생각해보고, 시세트래킹에서 인사이트 뽑아내보기
  2.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시장 참여자들의 미래 수입에 대한 기대가 압도적으로 크다고 하면, 이들은 어떤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시장에 참여하고자 할 것이다.


댓글


이파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