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5. 2. 2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서울 공급부족 # N파고 #핫플레이스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10점 만점에 ~ 몇 점?) : 9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저자 소개
김경민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 부동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 분야를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 지은 책으로 빅데이터로 부도산 시장으로 분석한 ‘부동산 트렌드’시리즈와 ‘부동산 메가트렌드 2020’ 도시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도시개발 길을 잃다’ 익선동의 가치를 재조명한 ‘리씽킹 서울’ 북촌을 개발한 기농 정세권 선생을 다룬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조선일보>에 월 1회 ‘김경민의 부트캠프’를 연재하고 있으며 SBS교양이를 부탁해 MBC 손에 잡히는 경제 플러스, KBS 머니올라 등 다양한 미디어에 컨트리뷰터로서 정기적으로 출연 중이다. 김경민의 노트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부동산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2025년 서울 부동산, 슈퍼사이클에 돌입하다.
매년 빅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서울시 집값 예상치와 당해의 투자 이슈를 짚어주는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을 전격 해부한다. 2024년 현재, 각종 매체에는 상승장이 왔으니 ‘영끌’해서라도 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과,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 것이니 있는 집도 팔라는 의견이 뒤섞여 있다. 상반된 주장에 혼란스러운 투자자들은 정확한 데이터와 균형 있는 의견을 제시해줄 전문가를 절실히 찾고 있다. 이에 김경민 서울대 교수는 “서울 부동산은 2021년도의 전 고점을 넘어 신고가를 기록할 것”이라며 확실한 ‘상승’ 방향을 예고한다. 역대 최악의 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 신호, PF 문제 연장, 전셋값 폭등 등 시장의 모든 지표가 가격을 밀어 올릴 준비를 갖췄기 때문이다. 심지어 강남 부동산은 이미 슈퍼사이클 진입을 완료했다. 『부동산 트렌드 2025』는 더욱 정밀해진 분석으로 ‘2025년 집값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2024년 부동산 시장 다시 보기
매매 거래량의 비중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면 이는 전월세 시장의 수요가 매매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경향이 현 주택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매매 시장으로의 수요 전환은 매매가격을 움직일 가능성을 내포한다. 그 가능성이 골든크로스에 정확히 도출됐다.
-> 하락기를 지나왔고 지금 상승장 초입에 진입하고 있는 중이다. 공급부족이 앞으로 나타날 예정이라 상승장이 올 예정이다.
서울시 구별 아파트 매매 시장 동향
고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권역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저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비동조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2025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TOP6
매매 비중의 점진적인 상승과 매매 거래량의 증가는 시장이 정확히 바닥을 지났다는 신호를 보여주며 슈퍼사이클의 문을 열고 있다.
아파트 단지별 슈퍼사이클 확인
이미 강남3구의 고가 아파트와 구별 랜드마크 단지들은 전고점을 회복했거나 거의 근처로 온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직 중저가 아파트의 경우는 기회를 주고 있다. 눈여겨 보기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지금 보고 있는 구와 이미 앞마당인 곳의 단지들을 비교해주고 전고점을 어떻게 돌파하는지 앞으로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어 스스로 점검하는 시간이 되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부동산의 교과서 같은 느낌이었다, 이미 강의를 들어서 귀에 딱지가 생길정도로 알고 있던 내용이었는데 책으로 다시 보게되니 느낌이 달라졌다,
서울시장에 투자를 준비중인데 더욱더 확신을 가지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2025년 슈퍼사이클에 진입할 예정이다,
이유 : 공급물량 부족, 전세가격 상승, 금리 인하, 인플레이션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251 이처럼 시차를 두고 서울시 모든 지역이 서로 연결되어 가격이 동조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전세가를 알면 부동산 투자가 보인다. - 매일경제신문사
댓글
마음비우기34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