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부동산 트렌드[장유부자]

  • 25.02.07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 5명(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5.02.07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2025년도 #슈퍼사이클 #공급절벽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대표저자 김경민

현재 서울대학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주요연구분야로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분석이 있다. 돈독모책으로 처음 알게 된 책인데 매해 부동산트렌드를 예측하여 책을 내오고 있었던 모양이다..

 

2. 내용 및 줄거리

 : 2025년도의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될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방부동산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수요가 큰 서울부동산에 대한 얘기가 많다. 왜 서울 부동산의 공급이 적어지게 됐는지 전세가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극적으로 서울부동산이 슈퍼사이클에 진입하고 있다는 생각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막연히 서울부동산의 공급이 적기때문에 전세가가 오르고 매매가가 오르고 있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공급절벽에 오게된 이유를 다방면에서 얘기해줘서 사고를 확장시킬수 있었다. PF사태, 원자재 가격급등 등 여러가지 연쇄적인 이유로 아파트 공급이 적어지게 되었고 단기간에 공급을 늘릴 수는 없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저자는 서울 부동산을 크게 강남3구의 고가아파트시장과 노도성(노원구, 도봉구, 성북구) 중저가 시장으로 나눈 뒤 고가아파트시장의 매매상승시기와 중저가 매매상승시기를 비교해보면서 서울은 고가아파트시장이 먼저 움직이고 서울평균아파트시장이 움직인 뒤 몇개월뒤에 중저가 시장의 매매가가 반등하는 것을 데이터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가격하락은 중저가시장이 먼저 시작하고 고가아파트시장이 나중에 하락하는 것을 보면서 과거데이터이긴 하지만, 서울아파트 시장이 어떤 가격흐름을 보이는지 알 수 있었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153, 부동산 수요 : 소득수준과 주택양극화

: 팬데믹을 거치면서 수요 측면에는 크게 두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첫때는 거대한 인플레이션이 왔음에도 일반인들의 소득은 그에 맞춰 상승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서민들의 실질 소득은 정체 혹은 감소했다. 또 다른 특징은 양극화의 심화이다. 이러한 빈부격차는 당연히 주택시장에도 양극화를 가져온다.

 

요새 뉴스를 보면 경기가 안 좋다는 내용의 기사가 많지만 서울 고가부동산시장은 예전 최고가를 갱신하고 있습니다.(지금은 그정도는 아닌 것 같지만..) 부동산 시장에서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맞는 것 같지만 수도권은 수요가 크기 때문에 저자가 말한 ‘공간 균형’을 찾아간다는 말처럼 특정지역의 가격상승이 인근지역의 가격도 순차적으로 상승한다는 것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부동산 양극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수도권, 지방부동산) 그리고 양극화가 이루어질 때 우리가 해야할 것은 무엇일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같습니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로버트 기요사키)


댓글


장유부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