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2월 <부동산트렌드 2025>

책제목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김경민 외 5명, 와이즈 맵

읽은 날짜 : 25/02/05

핵심키워드: #서울 집값이 상승할 요인 #지역마다 다른 상승시기 #전세상승 #PF연장 #공급절벽

평점: 9/10

 

[저자 및 도서소개]

저자: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부동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한민국 최고의 부동산 전문가로,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 저서로는 『부동산 트렌드 2023』,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도시개발, 길을 잃다』, 『리씽킹 서울』 등이 있다.

 

 2025년 서울 부동산, 슈퍼사이클에 돌입하다
매년 빅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서울시 집값 예상치와 당해의 투자 이슈를 짚어주는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을 전격 해부한다. 2024년 현재, 각종 매체에는 상승장이 왔으니 ‘영끌’해서라도 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과,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 것이니 있는 집도 팔라는 의견이 뒤섞여 있다. 상반된 주장에 혼란스러운 투자자들은 정확한 데이터와 균형 있는 의견을 제시해줄 전문가를 절실히 찾고 있다. 이에 김경민 서울대 교수는 “서울 부동산은 2021년도의 전 고점을 넘어 신고가를 기록할 것”이라며 확실한 ‘상승’ 방향을 예고한다. 역대 최악의 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 신호, PF 문제 연장, 전셋값 폭등 등 시장의 모든 지표가 가격을 밀어 올릴 준비를 갖췄기 때문이다. 심지어 강남 부동산은 이미 슈퍼사이클 진입을 완료했다. 
 

 

[내용 및 줄거리]

2024년 부동산 시장 동향 회고

2025년 골든크로스 (단기이평선, 장기이평선)

서울, 수도권, 지방 매매시장동향

구별 (고가/중저가) 매매시장동향

공급상황과 공급 절벽에 따른 전세상승 가능성

슈퍼사이클 (대세상승의 신호. 골든크로스)

인플레이션

전세가격상승

PF연장으로 인해 시장에서 토지 매물이 나오지 않고 있어 공급은 더이상 어려울 전망

퍼펙트스톰(공급부족과 금리인하의 시너지효과)

(위까지 월부를 하는 사람들이 보면 좋을 것. 케이스별 시나리오 분석이 자세하게 되어있음)

서울대장단지 분석

서울시 집값 시나리오와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이 가야할 방향

새로 떠오르는 상권과 업종

(아래쪽은 구색맞추기용.대장단지분석은 월부에서 구별 전체 단지분석 혹은 대장단지만이라도 구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모니터링 하는 사람이라면 크게 의미가 없다. 상권은 주거용과 다르게 투명하지 않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기도하고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동선과 유동인구의 변화, 트렌드에 따른 업종변화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크게 볼 게 없다.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부동산 시세를 장기이평선, 단기이평선으로 하여 시세상승을 예측한 점이 흥미로웠음.

케이스별로 나누어 금리, 공급,입지에 따라 전세와 매매가격의 변화 시나리오를 작성한 접근방법이 체계적임. (역전세 혹은 추후 리모델링에 관한 부분을 대비할때 혹은 개인적인 재무계획을 세울때 이런 접근방식으로 해결책을 미리 고민해본다면 리스크를 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

서울 상위급지와 하위급지의 상승시기의 시작점과 지속기간이 상이하다는 점이 유용했음. 나중에 매수, 매도 시점을 체크할때 참고하면 좋을 것.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

N파고 , W파고의 해석상 논의 (구별 or 생활권별 선호도가 가장 좋은 아파트를 기준으로 한번 같이 매겨보고 싶음)

기타 광역시와 지방은 앞으로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

부동산의 단기 이평선과 장기 이평선은 어떤 기준으로 작성한 것일지 같이 논의해보기

부동산 사이클이 짧아지는 것의 의미와 대비책

인플레이션을 “예측”하기 위해서 다른 분들은 어떤 지표를 살펴보는지

시공비를 줄이기 위한 본인만의 팁

 

[연관지어 읽어볼만한 책]

부동산을 공부한지 아직 얼마되지 않았다면: 부린이가 가장 궁금한 질문 top99

사업을 구상하는 경우 혹은 책에서 자세히 다루어주지 않은 상권에 대해 궁금하다면 : 알면 보이고 돈이되는 상권의 비밀


댓글


Blanca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