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반스쿨 중급반 43기 22조 코얄라] 종잣돈 모으기와 투자공부 루틴이 중요하다는 걸 배웠습니다!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 저자 및 출판사: 너나위 /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2025년 2월 8일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2장 02 돈을 쓰면서 결국 돈을 버는 법]

직장인 투자자로서 나는 직장에 출근하여 하루 8시간 이상 일을 한다.

그렇게 정해진 월급날 급여를 받는다. 나는 이 급여,  즉 내 시간과 교환한 돈을 어떻게 사용할지 선택한다. 

간단히 줄이면 다음 세가지 정도다.

<직장인이 돈을 쓸 수 있는 세가지 방법>

1)옷이나 차, 그 외 생필품이나 사치품 등의 소비 자산을 사는 데 쓴다.

2)필요한 곳에 아껴서 사용하고, 남는 돈을 통장에 넣어둔다.

3)필요한 것을 사고, 남은 돈으로 향후 가치와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생산 자산’을 사는 데 쓴다.

 

[4장 01 돈이 없다는 당신을 위한 종잣돈 마련법]

투자의 목적은 무엇인가?
비근로소득, 즉 내가 직접 시간을 투입해 일하지 않아도 돈이 스스로 일해
창출하는 소득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종잣돈'을 어떻게 마련할지 고민해야 한다. 

종잣돈을 마련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1. 현재 내 가계로 들어오는 수입에서 지출을 뺀 금액을 알뜰하게 모으는 것
(필요비와 불필요비로 구분하고 지출 정리하기)
2. 거주 등의 이유로 묶여 있는 큰돈을 일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

 

돈을 쓰는 대상만 바꿨을 뿐인데도, 생각보다 큰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한번 생각해보라. 지출 정리로 생긴 월 100만원 정도의 금액으로 책을 사서 읽고 강의를 들으며,
꾸준히 모아 투자를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나는 이러한 작은 변화가 과거와 다른 삶을 만드는 씨앗이 된다고 생각한다.

 

[6장 01 인식과 태도의 변환이 시작이자 끝]

당신이 이 책을 읽으며 자본주의에 대해, 돈에 대해, 부동산 투자에 대해 몰랐던 것을
알게 되었다면 그리고 지금 변화를 갈망하고 있다면, 아는 것에서 멈추지
말고 반드시 이를 실행에 옮겨라.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이 책은 너나위 님이 치열하게 부동산 공부를 하고, 종잣돈을 모으고
투자를 한 경험담이 녹아있는 책이다.


-남들이 움직이지 않는 비수기 계절에 매물 임장을 다니시고 
전세입자들이 집을 찾는 성수기 계절에 전세를 놓으신다니 과연 성공하는
투자자들은 일반인들과는 전혀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나는 일반인처럼 일상을 보내면서, 성공한 투자자의 삶만 동경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되었다.


-아직은 어색하지만, 종잣돈을 모으는 생활습관과 소비 그리고 투자공부와 독서, 임장을 

내 생활적용할 수 있는 루틴을 꼭 잡아나가야겠다는 목표가 생겼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생활비 중 필요비와 불필요비를 나누고, 모을 수 있는 금액을 계산해본다.


2. 너나위 님이 책에서 실천한 투자공부 방법과 임장 방법을 한달 루틴으로
잡아서 실천해본다.


3. 목실감 시금부를 매일 기록한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337) 투자를 배우는 것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빨리 가고 싶다는 사람이 아무리 간절하다 해도 경험이 부족하면 빨리 갈 수가 없다.
서두르다가 방향을 잘못 잡으면 다시 되돌아오지 못할 수도 있다.
(중략) 명확한 투자 기준을 갖기까지 결국 투자에 익숙해지기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묻는 사람의 질문에는 그의 조급한 마음이 들어 있다.
그 질문은 너무 이르다. 처음 접한 영역, 익숙하지 않은 길이라면
빨리 가려고 해도 그럴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천천히 두드리며 찾아가길 바란다.
오래 걸어가야 하는 길 위에,
당신뿐 아니라 같은 곳을 향하는 사람들도 함께한다면 그 길이 힘들기만 한 것은 아닐 것이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부자열무user-level-chip
25. 02. 10. 19:14

저도 소비자산과 생산자산을 나누는 부분에서 아! 했어요! 돈을 쓰는 행위는 똑같지만 씀으로써 소멸해버릴 돈과 나에게 더 크게 돌아오는 돈을 정말 잘 표현한 단어인 것 같아요. 우리가 선택한 생산자산인 부동산을 잘 모아나가봅시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