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 만들기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ISA #연금저축 #S&P500 #MTS활용 #절세 #적립식
한줄 총평 : 절세의 꽃 연금저축계좌, 목돈을 모으는 ISA계좌에 대한 무지는 목돈을 모으는데 큰 손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ISA계좌를 알고도 만들고 있지 않았던 나에게 목돈을 모으기 위해 통장쪼개기를 한 나에게 반드시 필요한 계좌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연금저축은 세액공제를 많이 해주고, ISA계좌는 3년만기로 세액공제를 받아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을 절세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상장 해외ETF를 투자하여 3년에 한번씩 세제혜택을 받아가며 종잣돈을 모으는데 도움을 받으면 좋다는 것이다. 그리고 강남아파트 같은 주식을 ‘적립식 vs 타이밍’ 에 대한 비교분석을 보면 적립식이 높은 확률 도 유리하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었다.
“ 강남아파트 같은 주식을 매수한다면, 주가 하락에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
- 광화문금융러 -
느낀점 : 광화문금융러님께서 들어오셔서 나에게 하셨던 첫 질문이 아직도 뇌리에 박혀있다. “연금저축 계좌있으신가요? ISA계좌는 있으신가요? ISA계좌는 왜 안만드시는거에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강의를 듣고나서 낯부끄러운 대답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ISA계좌를 만들어 운용하면 목돈이 묶인다고 알고있어 종잣돈 모으려고 안만들었다고 대답을 했던 나에게 머리를 세게 한대 때려준 강의였습니다. ISA계좌를 운용하는 전략에 대해 상세하게 배우고 3년만기마다 비과세 혜택을 받으며 목돈을 모아 알파투자에 활용 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했다.
적용할점 : 결정세액을 알고 내가 매달 저축해야할 연금저축 금액을 알고 매년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기, 연 2천만원 ISA계좌 만들어서 3년마다 비과세 헤택을 받고 연금저축으로 옮겨 추가 세액공제를 받아 목돈을 조금 더 빠른 속도로 모을것이다.
1주차 강의 후 계획 : 무지했던 ISA계좌를 먼저 만들 것이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연금저축 ETF는 건들지 않을 것이다. (S&P500으로 묻지마 적립식을 하고있었음, 운이 좋았다) ISA계좌에 이체를 하고 S&P500을 구매할 것이다. NAV를 보면서. 연금소득세 적용 가능한 한도는 연간 1500만원(125만원/월)이기 때문에 부부가 나눠서 연금저축을 납입하는게 좋기에 배우자도 연금저축계좌를 만들어 납입해야겠다.
PART1. 손실을 줄이는 MTS 활용
느낀점 : 절세계좌(ISA,연금저축)를 개설하는 방법과 MTS의 핵심기능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연금저축계좌와 ISA계좌를 함께 운용했을시 절세 혜택을 최대로 받을 수 있고, IRP계좌는 안전자산 비중이 있어 연금저축계좌보다 관리가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이다.
적용할 점 : ISA계좌는 만들때 최대한 길게 10년 이상 선택하여 만기일을 앞당겨서 해지하는 전략을 고수하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만약 서민형을 만들 수 있는 조건에서 10년 이상 선택하여 혜택을 최대한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NAV라는 개념을 처음 알게 됬는데, 주식의 실시간 가치로 괴리율이 크다면 매수시 주의를 해야된다는 것이다.
PART2.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ETF 매매법
느낀점 : ETF란 상장 지수 펀드의 약자라는 것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였고, 한국 ETF는 국가명이 붙지 않아 국가명이 없다면 국내 지수에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ETF를 구매할때 미국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ETF를 매수하여 미국시장에 투자하는 방법을 선택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괴리율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발생하는데, 괴리율이 커지면 순자산가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기에 주의해야한다는 것이다.
적용할점 : 괴리율이 크다면 증권사에서 안정을 위해 유동성 공급자 제도를 운용하기에 iNAV값이 매우 크다면 조금 기달렸다가 구매하는 전략을 사용하며, 괴리율 1% 기준으로 초과하는 ETF는 매수하지 않겠다라는 기준을 정했다. 그리고, 실부담비용률이 낮은 ETF를 살 것이다.
PART3. 평균 금리 24.1% 적금 만드는 절세계좌 (연금저축, ISA,IRP)!
느낀점 : 연금저축계좌는 연금 수령 요건만 맞춘다면 최소 소득세를 3.3%~5.5%로 줄일 수 있다는 것과 한도 1500만원이 넘어가면 기타소득세를 16.5%를 낸다는 것을 알게되어 내 연금한도 1500만원/연 이 넘어가면 배우자에게 남은 비용을 넘기는게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매매차익이 발생한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은 비과세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매매차익이 발생해도 소득으로 잡히지 않아 건보료 또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적용할점 : 연금저축은 배우자와 비율을 맞춰서 들어야겠다. 55세까지 연금저축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125만원/월' 이상은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되기에 아내와 나눠서 받는다면 비전보드에 기입한 월 생활비는 연금으로만 가능하다. ‘250만원/월’이 내가 기입한 노후 생활금이다.
PART4. 3년에 한번씩 전략적으로 목돈 만들기 (ISA)!
느낀점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내가 운용을 안하고 있던 ISA계좌 목돈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활용해야하는 계좌라는 것이다. 일반 증권계좌로 운용을 하는 것보단 ISA계좌를 활용하여 운용을 한다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형 3년에 200만원 비과세, 초과시 9.9%과세는 엄청난 세제를 받는다면 일반 증권계좌는 국내 15.4% , 해외 22% 세금을 내는 것과 엄청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적용할점 : ISA는 3년 경과하고 수익 200만원 이상이 났다면 해지하여 세제혜택을 받고 다시 ISA계좌를 만들어 운용한다. 그리고 연 2천만원 한도로 납이 가능하기에 가능한 빨리 만들어 최대한도를 늘려서 운용하는게 중요하다. 해지시 일정비율은 연금저축으로 넘겨서 10%(300만원 한도) 절세효과를 받아 목돈을 잘 만들어 보는게 목표이다.
명심할 POINT
댓글
깔끔하게 정리 너무 잘하셔서 저도 잘 읽고 배우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