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무려 광교신도시에? 분양가를 나눠내는 '적금 주택' 청약 총정리 (지분적립형 주택, 장단점, 입지, 청약조건, 임대료)

  • 25.02.11

📌 이 글 하나면 알 수 있어요!

  • 분양가 나눠내는 ‘지분적립형 주택’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어요.
  • ‘지분적립형 주택’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수수진입니다😃

 

 

최근 공사비가 오르면서

여기저기 분양가도 난리법석입니다..

강남은 심지어 34평이

분양가 20억을 넘는 상황인데요!

 

 

그래서 분양가가 저렴하게 나와서

관심이 쏟아지는 곳들도 있었죠?

 

 

 

 

 

뉴스에서 자꾸

‘지분적립형 주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길래…

 

 

통장도 아니고.. 주택인데 적립형?

 

 

좋은 혜택이면 바로 또 

발빠르게 소개해드려야겠다는

마음 하나로 요래조래 조사를 해봤습니다😅

 

 

전국 최초로 경기도에서

시도한다는 적립형 주택에 대해

쉽게 알아볼게요!

 

 


 

 

지분적립형 주택

이게 뭐에요?

 

 

 

서울에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있다면, 

경기도에는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있죠?

 

 

바로 경기주택공사에서 

3기 신도시에 약 1만 1,000가구

공급 계획을 밝혔었고

 

 

올해 전국 처음으로

수원 광교신도시에 국내 최초로

‘지분적립형 주택’을 공급한다는 건데요.

 

 

말그대로 적금을 매달 납입해서

목돈을 만드는 것처럼

새 아파트 분양가를 입주시점에 내는 게 아니라

20~30년에 나눠서

아파트를 살 수 있도록 만든 제도인데요.

 

 

누구나 되는 건 아니구요!

청년이나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분양가 부담을 낮춰주기 위해 도입된 유형이라네요!

단, 국민평형은 아니고 

전용면적 60m2 이하 주택에 한해서

공급되는 유형입니다!

대략 18평 이하의 소형 평형이 되겠죠?

 

 


 

 

그럼 입주할 때

얼마를 내야하나요?

 

 

 

 

먼저 분양가의 10~25%를 내고

입주한 뒤에 20~30년에 걸쳐

나머지 지분을 사들이는 건데요.

 

 

20년 뒤에 지분 100%를 취득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면

4~5년마다 지분을 15~25%씩

추가로 취득하시면 돼요.

 

 

 

🍎 예를 들어볼게요!

 

분양가 5억원의 

지분적립형 주택을 분양받았다면?

 

 

 

 

입주할 때

분양가의 25% → 1억 2,500만원을 냈다면

 

20년 동안의 잔금

5억 - 1억 2,500원 = 3억 7,500만원

남은 상황이구요!

 

잔금 + 이자 약 9,000(연 2.0% 기준)

4억 6,500만원

납부하게 되는 셈이죠!

 

 


 

 

그럼 분양가 말고

추가로 내야할 금액은?

 

아쉽게도 추가로 지불해야할

금액이 있어요😥

 

 

마지막 100%를 취득하기 전까지는

온전히 ‘내 아파트’가 아니기때문에

공동 소유한 상태인데요!

 

 

공공 보유한 이 아파트에 대해서는

임대료를 내야해요.

단,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80%이하

수준이라 저렴하다고 해요!

 

 

 

🍎 예를 들어볼게요!

 

인근에 아파트 

월세가 100만원이라고 하면

지분적립형 주택 임대료는?

 

 

원래 80%지만 

처음에 20% 지분을 냈다고 가정하면 

60%의 가격만 내면 돼요!

 

100만원 - 40% = 60만원

주변이 월세 100만원일 때,

60만원을 내고 사는거죠!

 

 

4년 뒤에 15% 지분을 더 낸다면

그만큼 계속 임대료가 낮아지는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임대료는 전세처럼 목돈을 내거나

매달 월세를 내는 방식

모두 가능하니 미리 계획 세워두세요!

 

 


 

 

100%를 다 내고

취득하기 전까지는

계속 거주해야하나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고해요.

 

 

단 여기서 중요한 건!

거주 의무 기간 5년

10년간 전매제한 기간이에요.

 

 

이 기간만 지나면 일반 주택처럼 타인에게

시세대로 팔 수 있어요!

매매 시점에 따라 대신 시세차익은

지분에 따라 공공과 나눠야할 수도 있대요.

 

 

 

🍎 예를 들어볼게요!

 

10년 후에

내 지분이 65%라면?

 

 

10년 후 전매제한 기간이 풀린 상태!

분양가의 65%는 갚아나갔고 

나머지 35%는 아직 내 지분이 아니라면,

 

 

말그대로 집을 팔아서 생기는

수익의 35%는 공공이 

가져가는거에요.

 

 

10년 뒤에 시세차익이 많을 때는

오히려 그 전에 100%의 지분을 가져오고 

시세차익을 가져오는게

더 좋을 수도 있겠죠?

 

 


 

 

그럼 위치가 어디에요?

 

 

 

 

 

바로 광교신도시 A17블록입니다!

일단 광교호수와 너무 가깝고

 

신분당선인 광교중앙역과도

버스타면 10분거리에요~!

 

강남까지는 45분!!

 

 

 

 

입지만 봐도

주변 상권이 너무 잘 되어있고

학교가 주변 가까이 많아서

아이키우기는 단연 좋겠어요!

 

 


 

 

청약 자격 조건은요?

 

 

 

✔︎ 청년, 신혼부부, 생애 최초 주택을

취득하는 무주택자

 

✔︎ 근로자 월 평균 소득 150% 이하

(맞벌이 경우 160%)


✔︎ 부동산자산 2억 1,550만원 이하

 

✔︎ 자동차자산 2,765만원 이하

 

 

청약 비중은

특별공급 40~50%

일반공급 50~60%

이라고 해요.

 

 

제대로 모집공고가 나오면

살펴보면 좋겠어요!

 

 


 

 

주택담보대출

가능한가요?

 

 

 

아직은 구체적으로 주택담보대출 여부는

정해지지 않았어요.

 

수원광교신도시 등에 지분적립형

주택 공급을 추진하는

경기주택공사와 금융기관이 협의 중이라고 하니

기다려보는 게 좋겠어요!

 

 


 

 

새로운 방식의

주택 공급 소식 어떠셨어요?🙃

 

 

저도 막상 몰라서

이것저것 찾다보니,

경기도에서 3기 신도시를

계획하면서

 

 

처음으로 내집마련하는 분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방식을 많이 고민해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후에 광교신도시 관련

모집공고가 뜨면

그때 또 내용 추가해서

적어둘게요:)

 

모두가 내집마련하는 그날까지~!!!

 

 

+

저도 청약에 여러가지로 관심이

정말 많은데요!

 

이 강의듣고 확실히 좋은 청약마다

매번 도전하고 있어요!

실제로 청약 당첨된 분들도 많다고 하니

후기 구경하러 오세요.

 

 

 

 

모두들 올해 청약 당첨되시길 바랄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함께하는가치
25. 02. 11. 13:04

새로운 방식의 공급이네요ㅎㅎ처음부터 자가를 마련하기 힘들면 청약해봐도 좋겠어요

험블creator badge
25. 02. 11. 13:07

와 지분적립형 주택 너무 좋은 제도 같아요! 전세랑 월세 선택할 수 있는 부분도 넘 좋네요! 감사합니다 수진님❤️

무빙포워드
25. 02. 11. 13:10

좋은정보를 수진님 덕분에 쉽게 이해 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