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결국엔 오르는 집값의 비밀
2. 저자 및 출판사: 김준영, 한국경제신문
3. 읽은 날짜: 2025.02.10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5. 위 점수를 준 이유 간략하게
월부강의와 공통점이 많다. 특히 공급에 관한 자료와 해석, 데이터 중심의 인사이트가 대단하다. 새롭게 알게 된 것도 ㅁ낳고 임보에 적용해 볼 만한 것도 있어서 좋았다. ‘부동산 트렌드 2025’와 다르게 서울 중심이 아니고 서울 뿐만 아니라
광역시 와 중소도시까지 다루어주어 앞으로 앞마당을 만들어 나갈 때 도움이 될 것 같다.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집값은 이렇게 만들어진다._전세의 이해
-부동산에서 전세와 월세는 생산물이자 사용가치이다.
-전세가의 변화를 주는 요소는 공급과 금리의 상승과 하락이다.
부동산시장의 변동성과 자산가치의 변화를 구분하라
-자산가치의 장기적인 변화는 요구수익률의 변화이며 전월세 전환율( KOSIS>지역별 전월세전환율)로도 구할 수 있다.
-전세수급지수(KB주간시계열>9전세수급)의 상승은 시장에 전세매물이 부족하다는 뜻.
움직이는 수요, 어떻게 파악할까
-3년에 걸친 시장의 공급, 3년 누적 공급량이 변곡점을 만든다.
공급을 알아도 전망이 쉽지 않은 이유
-서울은 긴 사이클, 지방은 단기 사이클이며 3년 누적 공급량이 가장 중요.
-도시가 인접하더라고 교통이 불편하면 상관관계는 적다.
-지방은 공급이 선행지수이며, 서울은 후행지수이다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매매거래량을 기준으로 입주물량의 영향력 판단을 더 현실성이 있다.
월세 시대, 무엇이 달라질까
-전세에서 월세로 바뀌어지면 공급이 줄어든다.
통계를 과신하면 안 되는 이유
-2~3년 후를 판단하고 예측해 볼 수 있는 통계자료는 입주물량과 인허가물량 뿐이다.
-그 외에는 후행지표와 현행지표이며 선행지수라는 건 없다.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월세환경이 높아진다는 것은 주택시장이 점차 성숙해 진다는 것이다.
지역별 부동산 분석
-서울,수도권 :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시장, 상승환경이 만들어가는 시점
-부산 : 1~2년 안에 긍정적인 시장 환경 진입
-대구 : 25년, 26년, 27년은 초과공급시기와는 전혀 다른 환경이 될 듯
-광주 : 입주물량 감소로 분위기는 좋아질 듯
-대전 : 적정공급량이다. 반면 전세수급지수는 광역시 중 가장 빠른 반등을 보인다.
-울산 : 25,26년 입주물량 부족으로 가장 빠른 매매 거래량 증가 예상
-청주 : 24년은 보합
-천안 : 24년 하반기 과다공급에서 벗어난다. 두 도시 시간을 두고 본다.
-전주 : 입주물량 부족으로 매매가 상승 기대
-창원 : 부산과 같이 움직인다.
-포항 : 입주가 많아 어려운 시장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책을 통해 KB주간시계열에 유용한 자료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9전세수급지수+공급물량 비교 와 10전세거래동향 임보에 적용하기(KB주간시계열)
2. 아실>거래량>지역 + 공급물량 비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202 통계는 보조지표 정도로 활용해야 하며 결국 스스로 예측하고 판단을 내려야 한다.
282 어는 정도 시간이 지나면 부동산은 자신의 원래 가치를 찾아갑니다.
283 주거의 본질에 가장 가까운 것이 전세이고, 전세의 변화가 우리 주택시장의 모두라고 과언이 아닙니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정예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