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 p.19) ‘겨울에는 자판기에 차가운 음료가 있을 리 없다’는 편견과 ‘설령 따뜻한 음료가 있더라도 세 번째 단에 또 밀크티가 있을 리는 없다’는 선입견, 더 덧붙이면 ‘빨리 밀크티를 사서 온기를 느끼고 싶다’는 욕망이 머릿속을 지배하고 있었던 셈이다. … 과장처럼 들리겠지만 남한테는 ‘고작 밀크티’일지 몰라도, 지금 나에게는 ‘세상에 둘도 없는 밀크티’이다.
✅ p.23) 자네는 돈에 대해 몰라도 너무 모르는 것 같아. 건성인데다 갈피를 잡을 수도 없고, 순간적인 기분에 휩쓸려서 일을 크게 벌이려고 하지. 그래서 실패한 걸세.
✅ p.32) 인간은 돈 때문에 저지르는 실수 중 90퍼센트는 잘못된 타이밍과 선택으로 인해 일어난다네. 돈을 잘못 다루는 사람들은 대부분 그걸 깨닫지 못해. 실수를 저질러놓고 남의 탓으로 돌리거나, 자네처럼 날씨나 기온 탓이라고 해버려. 그리고 똑같은 잘못을 몇 번이나 다시 저지르지.
→ 항상 내 입장에서 어떤 상황과 물건, 내용들을 판단하고 옳다고 생각해왔다.
→ 특히 무언가 큰 돈을 쓸 때도 수중에 돈이 있다면 돈의 의미나 무게감을 전혀 생각하지 않은 부분도 컸다고 생각한다.
→ 집을 살 때도, 차를 살 때도, 결혼준비를 할 때도 돈이 돈같지 않았었다.
→ 부동산을 잘못된 타이밍에 샀을 때도 그저 ‘시기가 안좋았네’라고 생각하고 자산에 투자해놓은 걸 청산하고 차를 살 때도 미래가치를 생각하지 못하고 ‘암탉을 잡아버리는 실수’를 해버렸다.
→ 과거의 실수는 경험이 되어 선입견과 편견을 깰 수 있다.
→ 적용점 : 독서를 통해 복기하고 다시 읽어보자 (계속해서 히스토리 쌓고 아카이빙 하기)
✅ p.41) 사람에게는 각자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돈의 크기가 있거든. 다시 말해, 그 돈의 크기를 초과하는 돈이 들어모녀 마치 한 푼도 없을 때처럼 여유가 없어지고 정상적인 판단을 내리지 못하게 되는거지.
✅ p.43) 돈을 다루는 능력은 많이 다루는 경험을 통해서만 키울 수 있어.
✅ p.54) 자네에게 돈을 가져오는 건 반드시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야. 금리는 자네의 신용도를 나타내는 한 에에 불과하지. 즉, 남이 자네를 어떻게 보는지가 자네의 통장에 나타난다는 걸세.
✅ p.58) 부자는 신용의 힘을 알고 있어. 그래서 반드시 약속을 지키려고 하고, 남의 믿음에 부응하려고 하지. 돈은 남으로부터 오는 거니까. … 돈이 없는 사람은 의심이 많아서 좀처럼 남을 믿지 않고 흠부터 찾으려고 하지. 남을 믿지 못하면 신용을 얻지 못하는데도 말이야. 자연히 돈은 그 사람을 피해서 돌아가게 되고.
✅ p.75) 도전이 늦어지면 실패를 만회할 기회가 적어진다는 거야. 즉, 나이가 든 뒤에는 부자가 될 기회가 점점 줄어들어. 그래서 젊은이들에게만 허용된 유명한 표현이 있잖은가. ‘우리에게는 실패할 권리가 있다.’
✅ p.109) 그 사람의 과거, 즉 ‘어떻게 계획을 세워서 실행하고 결과를 내왔느냐’가 더 중요하지. 여기서 핵심은 설령 실패한 경험이 있어도 괜찮다는 거야. 스스로 곰곰이 잘 생각하고 실행하는 경험이 곧 신용이 된다는 걸 잊지 말게.
✅ p.194) 돈은 인생을 결정하는 한 가지 요소에 불과하다는 걸세. 다만 한 가지, 주의해서 다루지 않으면 돈은 인생을 엉망으로 만들지.
✅ p.195) 자네가 돈에 휘둘려 모든 걸 잃으려 하는 건 정말 멍청해 보이지 / 무슨 말을 하고 싶으신 겁니까? / 너무 자책하지 말게. 고작 해야 돈이야
✅ p.199) 돈은 반드시 다른 사람이 가져온다고 했어. 돈은 세상을 순환하는 흐름과도 같아. 흘러가는 물을 일시적으로 소유할 수 있어도 그걸 언제까지나 소유하지는 못하는 법이지.
✅ p.221) 실패란, 결단을 내린 사람만이 얻을 수 있는 거니까. 실패를 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내가 가진 돈을 줄어들게 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사로 잡혀 있다. 즉, 그들이 실제로 두려워하는 것은 ‘실패’가 아니라 ‘돈’인 것이다.
→ 돈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내용들이었다.
→ 나는 어떻게 하면 돈을 잃는지를 이미 경험했다.
→ 그렇기 때문에 나는 어떻게 하면 잃지 않는지 나머지 절반만 배우면 된다.
→ 돈을 소유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도전하고 실패하면서 돈 그릇을 키우면 자연스럽게 돈이 따라오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 돈은 항상 상대방(남)에게서 온다. 그렇기 때문에 나에 대한 신용과 신뢰도가 중요하다.
→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자.
→ 우리는 살면서 정말 많은 실수를와 실패를 한다.
→ 실패한 경험은 더 나은 나를 만들어주기도 하고 이렇게 쌓인 경험은 좋은 자산이 된다.
→ 실패할 수 있는 목표 설정, 그리고 실패해도 계속 나아가는 환경을 만들자.
→ 적용점 : 매달 독강임투 목표는 높게 잡는다 (120% 설정) 실패하고 성장하자!
댓글
부자의 그릇, 너무 재밌지 않던가요 ?? 저 밀리의서재 오디오북으로 들었는데 시간가는 줄 모르고 2번이나 들었어요 ㅎㅎ
부자 언어에 이어 그릇도 있네요 갑자기 보도셰퍼의 돈에서 지갑에 수포를 넣어 가지고 다니라는 말이 문득 떠오르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