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지출 종류별 목표 금액 선정
3~4년 동안 매월 말 정기적으로 가계 재무제표를 작성했습니다.
이것을 기반으로 평균을 구해보면
수입 (100%) / 지출 (39%) = 고정지출 (7.5%) + 변동지출(31.5%)
- 고정 지출 항목 :보험(2.5%) 통신(0.7%) 주거비 (4.3%)
- 변동 지출 : 식비+생활용품(6.5%) 교통(0.8%) 문화(0.4%) 옷/미용(1%) 의료(1.3%) 육아(8.8%)
투자(7.7%) 경조사(3.4%) 친목 및 기타 세금 등(1%)
고정 지출 변동 지출로 관리 했던 항목들을 너나위님이 알려주신 항목으로 3월부터는 시범 운영 해보려고 합니다. 3~4년 정도 이렇게 운영을 하다보니 엑셀에 정리한 데이터도 대규모 작업이 필요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해보고 보완해야겠습니다.
현재 계획: 기존에 예산으로 꾸렸던 항목들을 쪼개고 합쳐서 재분류
생활비 = 식비+생활용품, 공과금(고정 지출 주거비 - 전월세비용), 육아, 통신, 보험
활동비 = 교통, 옷/비용, 의료, 친목, 문화
주거비 = 전월세 비용
교육비 = 투자 + 육아(교육 관련)
비정기 = 경조사, 세금
이미 통장 쪼개기는 하고 있었음.
다만 신용 카드 활용 → 신용카드 빠져나가는 계좌로 송금 하여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메모로 이력 기입)
어렵게 가지 말자 생각이 들어 체크 카드 발급 신청!
이렇게 된다면 굳이 계좌로 돈을 옮기고 메모로 이력을 기입하는 단계가 축소 될 것 같습니다.
3. 체크 카드 발급 후 업데이트 예정
1) 통장 쪼개기 하며 느낀 점
어떤 강의에서 배웠는지 기억은 안나지만 이미 나름대로 시행착오를 겪고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아마 열반기초에서 배운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더 오랜 시간 시행착오를 겪어 보셨을 너나위님의 방법을 따라보려고 합니다.
2) 내가 주의해야 할 지출 항목 한 가지는 무엇인지
육아 비용이 아직 가늠이 잘 안됩니다. 아이가 커가면서 어떤게 더 필요할지 어떤 부분이 필요 없을지 감이 잘 안잡힙니다. 정부 지원금도 어린이집을 다니면 거의 축소되는데 현명하게 예산을 책정해서 활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
와 !비율로 정리하신 지출내역 보고 많이 배워갑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