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 이후 전세 셋팅에 따라 총 투자금이 달라진다

열반스쿨 중급반 - 계약부터 전세까지 실전투자 A to Z

전세 놓는 방법과 리스크 관리 , 계약서 작성 방법을 2주차에 배우게 되었다 전세는 공급량에 영향을 받는다

신축입주가 많으면 구축아파트 전세 거래가 정체된다

전세 투자는 매매 거래 작성후 전기셋팅까지 끝나야 끝나는 것이다 

전세 셋팅에 알아야 하고 중요한것은 

적정전세가 알아야 하는데 단,생,공 의 비교하여 적정금액을 설정해서 되도록 빨리 빼야 한다

 매수이후 전세금 셋팅에 따라 총 투자금이 달라진다

매매는 시간확보와 비용계산을 생각하고 물건을 고르고 매매 하여야 한다 잔금날짜와 리스크대비 금융대출가능 금액과 공실관리비등으로 인해 투자비가 생각보다 더 들어 갈 상황이 될수  있다는것

전세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인근단지와 영향을 받는 지역까지 비교하여 적정 전세금 설정해야 빠르게 전세를 빼서 너무 지나친  전세금 욕심을 부리지 않는것이 더좋을 수 있음을 기억하자

전세 셋팅의 유형에서 임차인의 이사 날짜와 매매 잔금일이 맞지 않을 경우와 전세를 맞추지 못할 경우금융대출을 일으켜야하는 상황이 생김과 동시에 공실관리비 발생에 주의 해야 한다 투자금이 많이 들어 갈수 있다

그래서 주인전세와  세입자낀 매물을 찾는것이 유리하며 그래도 못차으면 법인 전세도 잘 계약하여 셋팅할수 있다 그리고 전세자 임차인은 총4년을 살수 있으며 이중 2년은 의무이고 그뒤 2년은 갱신청구권 이용해서 2년을 더 살수 있는데 이때 의무 기간 2년뒤에  다시 계약갱신권을 쓰지 않고 새로운계약을 하면 다시 4년을 더 살수 있으므로 총 6년을 살수 있는것이다 시장 상황에 따라 계약 셋팅을 달리 하는것이 좋다 갱신을 하게 되면 투자금회수가 지연될수 있으며  계약해지 리스크에 대비 해야한다 공급 물량이 많으면 전세계약을 미리 앞당겨 작성하는게 리스크 대비 할수있다

 지방의 소액투자시 유의 상황으로 전세 보증보험에 가입이 되는 물건인가 부터 알아보아야 한다 너무 전세가 안나갈 경우 법인전세 계약도 생각해본다 관리의 문제가 있을수 있고 전세권설정으로 대출 가능성도 있지만 특약을 넣어 적절하게 선택한다 

임차인을 고를 수 있을때 없을때 투자 상화이 달라지므로 시장 판단이 빨라야 한다 시기에 가장 적합한 판단을하고 최대한 안전한 투자을 해야 한다

이번 강의에서 해소 되지 않았던 전세 빼기와 계약하는 부분 등등 해소 되었으면 계약서 작성법과 임대 계약서와 특약 부분,주의 상항도 함께 꼼꼼하게 알수 있는 알찬 강의로 조금은 자신감이 생기는 강의였다

 

 

 


댓글


김현영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