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안녕하세요 떠라링입니다 :)
재테기 2주차 강의는
광화문금융러님께서 진행해주셨는데요
연금저축계좌, ISA, IRP가 뭔지조차 모르는
저와 같은 수강생들을 위해
기본 개념 정리부터
사례별 투자 전략까지
그야말로 A to Z 강의였습니다
최근 배당소득 과세에 대한 개편으로
말이 많았었는데요
세금 개편으로 100만원을 받을 수 있던 게
85만원만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재투자할 수 있는 돈이 줄었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돈을 못 버는 게 아니며
그것을 뛰어넘는 더 좋은 혜택들은
여전히 유지되기 때문에
1~5순위 후보 중
5순위 후보가 사라져다고 해서
아예 투자를 안 한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는 말씀이 와닿았습니다
그리고 강의를 들으며
연금저축계좌와 ISA 계좌는
꼭 가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특히 연금저축계좌의 경우
1.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2.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지 않음
3. 건강보험료 인상 X
4. 과세 이연 효과
가 있어 그야말로
들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이었어요
이런 장, 단점에 대해 무지한 채로
'55세 이후에 돈 뽑을 수 있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해왔었는데
제 생각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답니다
또한, 광화문금융러님께서는
MTS 활용법에 대해
화면별 캡쳐까지 동원하여
정말 세세하게 알려주셨는데요!
이걸 보면서 고대~로 따라할 예정입니다 :)
MTS를 설치한 후, 여기서
절세계좌 3가지를 만들 수 있어요
(연금저축계좌, ISA, IRP)
연금저축계좌는
노후 대비의 목적으로 세제 혜택을 받는
장기 저축(투자) 계좌인데요
이 때 ISA 계좌와 함께 활용하면
절세 효과를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저는 아마 IRP보다는
연금저축계좌 / ISA를 우선을
활용할 것 같아요! :)
현명하게 ETF 활용하는 방법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지수의
대표 예시로, S&P500을 말씀해주셨는데요
찰리 멍거, 너나위님과 같은
경제적 자유를 이루신 분들이 모두
S&P 500을 한다고 하시길래
궁금했던 S&P 500!
미국 우량기업 500개에
분산 투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여러 종목에 분산하다 보니
주식이 빠지더라도
덜 위험하고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는
엄청난 장점이 있더라구요
그리고 ETF 투자 전
반드시 알아야 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NAV : 주식 1주의 가치
iNAV : 실시간 순자산가치
우리는 매수를 결정하기 전에
매수 가격과 iNAV를 비교해야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것!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가치 대비 저렴하게’
사야 한다는 건
정말 불변의 법칙이네요!
그런데 진짜 중요한 건
ETF 세금에 대한
내용이라고 생각해요
시작할 때부터
세금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나중에 규모를 크게 키워
자산을 운용할 때
손해를 안 입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국내 기타 ETF를
할 것이기 때문에
매매 차익만 알고 있으면
된다고 합니다 ㅎㅎ
절세 계좌이 꽃,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계좌는
소액으로라도
지금부터 해야겠다고
생각했는데요
세전 총급여 5,500만원 초과하는 경우
13.2%나 세액 공제가 된다고 해요
1년에 최대 1,800만원까지
투자할 수 있으며
연금저축 세액공제는
최대 600만원까지 가능!
600만원을 전부 납입하면
최대 148.5만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결정세액이 존재하는 만큼)
기타 소득세 16.5%를 내면
중도 인출도 가능하며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에 한해서는
중도 인출 가능하며
모든 세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
연금저축계좌가
장기 투자라서
단기간에 돈이 필요하면 어쩌지?
하고 망설였던 건데
중도 인출이 된다고 하니
좋은 것 같은데요
광화문금융러님께서는
세액공제 받지 않은 비과세의 금액을
많이 늘리는 것이
조기 은퇴 목표를 이루는
방법이라고 하셨습니다
또한 이게 진짜 요물인 게
연금저축 금액을 담보로
연금저축담보대출을
60% 한도로
받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근데 이 때는
ETF 상품이 아니라
펀드로 바꾸어야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것!
당장 개설해야 할 ISA 계좌
보수료가 저렴하고
ETF투자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중개형 ISA 계좌를
가입하면 좋은데요
ISA 계좌에 대해서 살펴보면
우선 최소 가입기간이
3년 이상이 되어야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당장 돈을 납입하지 않더라도
계좌를 개설한 날부터
3년이 채워지는 것이니
진짜 하루 빨리 만들어야겠어요
저의 경우 일반형이기 때문에
비과세 한도는
수익 200만원까지인데요
ISA 계좌에 월 25만원을
투자하면 좋을 것 같아요
3년동안 월 25만원씩 넣어서
200만원 비과세 혜택 받기!
200만원을 전부 납입할 경우
1년에 66.7만원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액 공제의 경우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이체하면
10% (최대 3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아 그래서 처음에
광화문금융러님께서
ISA 계좌와 연금저축계좌는
둘 다 활용하는 게 좋다고 하신 거구나
싶었습니다 ㅎㅎㅎ
그리고 ISA 계좌가 세금을 덜 내다 보니
당연히 일반 계좌보다
세후 수익이 높을 수 밖에 없다는 것!
절세 계좌이 마지막 퍼즐, IRP 계좌
IRP 계좌는, 개인형 퇴직연금입니다
IRP는 운용이
다른 두가지보다
조금 더 까다로운데요
특히 안전자산 30% 요건이 있어서
추가로 돈을 더 넣어야한다는 점이
저에게는 조금 크리티컬하고
후순위가 될 것 같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어떻게 투자해야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는지'
싱글 투자자/ 전업주부
가능 투자 금액대별
투자 아이디어와 전략을 말씀해주셔서
조금이나마 더 이해할 수 있었어요
강의를 들으면 들을수록
아무리 고점에서 매수해도 수익은 난다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는 게 좋다
S&P 500은 이율 17% 적금에 가입한 거다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광화문금융러님께서 말씀해주신 대로
결정세액을 먼저 확인하고
월 납입 금액을 산출한 후
세액 공제 받을 만큼 연금저축계좌에
납입 후 투자하기
2. ISA 계좌에서 월 25만원 투자하기
이 방법대로 해보겠습니다 ㅎㅎㅎ
추천해주신 책도 꼭 읽어볼게요!!
장기 우상향하는 우리의 삶을 위해
긴긴 시간 동안 훌륭한 강의해주신
광화문 금융러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동안 그냥 적금 들으면서
종잣돈 모이면
부동산 투자해야지!
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었습니다
댓글
우와 떠라링님 후기를 보니 강의내용 요약본 보는것같네요~ 한 번 더 정리되는 것 같네요!
역시 조장님 후기는 최고예요👍 저도 다시 한 번 정리가 되네요 ㅎㅎ
떠라링님 후기 보면서 한번 더 복습한 느낌이네요!! 완강하시구 후기까지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