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부자의 그릇
2. 저자 및 출판사: 이즈미 마사토(다산북스)
3. 읽은 날짜: 2025.2.16.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10점
 
 
STEP2-3. 책에서 보고 깨달은 것
- [사람마다 각자 자신만의 돈 그릇이 있다.] - 돈을 갖게 되면 선택이 요구된다. 지금 당장 쓸 지, 투자를 할 지 등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해야 한다.  - 사람들은 보통 돈을 갖게 되면 잘못된 타이밍과 충동으로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된다고 한다. 나는 그런 잘못된 타이밍과 잘못된 선택이 언제였을까? 최근에는 큼직한 투자 실수보다는 멍청소비, 충동소비가 많아진 것 같다. 나의 소비 패턴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시간이었다. 
-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오로지 돈을 많이 다루는 경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 강의를 듣다 보면 아무리 고심 끝에 첫 투자를 결정해도 그 결정에 후회가 남을 수밖에 없다고 들었다. 어쩌면 당연한 말일 수도 있다. 처음 내가 발품발아 산 집에 100%만족하는 행운이 과연 흔한 걸까? 내가 주식이건 부동산이건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오로지 내가 실제로 한 경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 소비 통제 : 저축률을 정해 소비를 통제할 것이다. (월 카드값 oo까지만 쓰기)
- 나의 돈 그릇을 키우기 위해 1달에 책 2권씩 꾸준히 읽어 배움을 실천할 것이다.
- 신용이 곧 돈! 내가 하는 모든 행동은 나의 신용을 키우고 결국 돈을 끌어당기기 위한 것임을 잃지 않고 일상 속 시간 약속을 잘 지킬 것이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 돈이란 건 말이지, 참 신기한 물건이야. 사람은 그걸 가진 순간에 선택해야 돼. 쓸까 말까, 쓴다면 언제 무엇에 쓸까? 하지만 사람들은 대부분 그런 생각은 안 하고 충동적으로 써버리지. 지금 필요하니까 지금 쓰는거야.
- 인간이 돈 때문에 저지르는 실수 중 90퍼센트는 잘못된 타이밍과 선택으로 인해 일어난다네.
- 사람들은 돈이 있으면 무조건 쓰고 싶어지는 모양이야.
- 사람들이 파산하는 진짜 원인은 그 압박감에 머리를 싸매다가 섣부르게 투자를 해버리기 때문이야.
- 사람들은 각자 자신이 다룰 수 있는 돈의 크기가 있다.
- 돈을 다루는 능력은 많이 다루는 경험을 통해서만 키울 수 있어.
- 부자는 신용의 힘을 알고 있어. 그래서 반드시 약속을 지키려고 하고, 남의 믿음에 부응하려고 하지.  돈은 신용이 모습을 바꾼 것이다. 신용도는 그 사람의 인격에 비례한다고 보네.
- 돈은 그 사람을 비추는 거울이다. 돈을 어떻게 쓰는지를 보면 그 사람의 습관, 라이프스타일, 취미와 취향 등을 모두 알 수 있다. 즉, 돈이란 개인의 사고와 행동의 결과가 그대로 드러난 산물이다.
- 자네에게 돈을 가져오는 건, 반드시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다. 돈은 신용이 있는 사람에게만 전달된다. 그리고 신용이 높으면 그만큼 많은 돈이 ‘기회’라는 얼굴로 접근한다.
- 신용은 지난 행동들의 결과이고, 지난 행동은 하루하루 사고해온 결과다. 하루하루의 사고가 행동을 만들고, 그 행동이 신용을 만들며, 그 신용이 결과적으로 돈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학교에 가서 공부하고, 친구들과 약속을 지키고, 직장에서 착실하게 일하는 건 모두 신용을 얻기 위한 행동이다. 그렇게 얻은 신용은 돈이라는 형태로 남고, 그 돈은 인생의 선택지를 늘려주는 도구가 된다. 그렇게 삶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도구가 증가하면, 우리는 한층 더 알찬 라이프스타일을 실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