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망고엄마] 월부챌린지 98회 진행중 : 2월 19일차 실전투자 경험담 필사 200세대 300세대 어떤 세대수여야 환금성이 좋은 아파트 일까요?-2

 

어제 내용에 이어…

 

 

실전투자 경험담 필사

진심을 담아서 님 글 25.02.11

제목실전투자 경험담 필사 200세대 300세대 어떤 세대수여야 환금성이 좋은 아파트 일까요?-2

 

 

어제 내용에 이어…

실전투자 경험담 필사

진심을 담아서 님 글 25.02.11

제목

200세대 300세대 어떤 세대수여야 환금성이 좋은 아파트 일까요?-2

링크

 

https://cafe.naver.com/wecando7/11421580

 

 

 

더 알아두시면 좋은점

 

여기까지 읽어주셨다면 세대수 적은 단지도 봐야 하는 이유를 이해하셨을 것을 생각합니다.

 

세대수가 1천세대 이상 갖춰진 좋은 생활권 속의 아파트 들은 

세대수 적은 모든 단지 가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저는 바은 맞고 반은 틀리다

라고 말씀 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가치라는 것은 언제나 상대적입니다.

 

동대문에 있는 아파트가 마포구에 있는 아파트 보다 대체적으로 덜 가치가 있고

마포구에 있는 아파트가 강남구에 있는 아파트 보다 

대체적으로 덜 가치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동대문에 있는 아파트가 가치가 없는것은 아닙니다.

 

즉 우리는 가치 속에서도 

절대적인 것과 상대적인 것 이 2가지 를 구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전의 둔산동 아파트 입니다.

 

대전의 둔산동은 학군과 일자리 커뮤니티와 환경을 보유한 대전 최고의 입지를 보여주는 곳 입니다.

 

여기서 120세대인 은초롱과 

1230세대인 둥지를 갖고 왔습니다.

 

1230세대인 둥지의 가격이 120세대인 은초롱을 압도 합니다.

 

상대적으로 가치가 덜 합니다.

 

그러나 은초롱은 대전 전체에 보자면 

훨씬 가치가 떨어지는 단지들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둔산동에 위치해 있기에 가치가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즉 세대수 적은 단지는 그 지역안에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아쉬울수 있으나

조금 더 넓게 생각해보면 

오히려 사람들이 보지 않는 투자 기회를 줄 수 도 있습니다.

 

이 상반되는 두가지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을때 우리는 더 나은

투자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경험한 부동산 투자 방법은

1+1=2 식의 단 하나의 등식이 아니라

4-2=2. 1+3-2=2, -3+5=2 등의

나만의 풀이과정을 찾아가는 것이 이었습니다.

 

 

경기도 외곽에 있는 복도식 방2개가 다 아니라고 할지라도 가치와 가격에 대해서 

스스로 맞다고 생각한다면 그게 맞는 투자였고

 

시세보다 5천만원 높게 전세가 껴있어서 

향후에 역전세가 고민되는 단지더라도

리스크와 가격/가치에 확신을 가졌다면

그게 저에게 맞는 투자 이기도 했습니다.

 

이 과정속에서 ‘가치’ 있다는 것에 대해

‘세대수’'전고점''거래쟝'n급지''인구'등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으시기 보다는

 

임장지에서 느끼신 스스로의 발과 눈

현장 부동산에서 들은 귀를 더 믿으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세대수가 적다고 내가 볼 물건에서 

빼버리고 배제 하기 보다는 

현장에서 느낀 우리가 판단한 가치를 먼저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기억해야할 내용

 

1+1=2 식의 단 하나의 등식이 아니라

4-2=2. 1+3-2=2, -3+5=2 등의

나만의 풀이과정을 찾아가는 것이 이었습니다.

 

이 과정속에서 ‘가치’ 있다는 것에 대해

‘세대수’'전고점''거래쟝'n급지''인구'등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으시기 보다는

 

임장지에서 느끼신 스스로의 발과 눈

현장 부동산에서 들은 귀를 더 믿으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부자망고엄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