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기 5기 29조 긍정킴] 재테크기초반 2강 후기

 

 

안녕하세요.

긍정킴입니다 :D

 

재테크기초반 2강 후기 남겨봅니다.

신입사원 때 부서 내 연말정산서류 취합담당자를 맡으면서

연말정산 공부를 하며 연금저축과 IRP를 통한 세액공제는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초과금에 대한 자유로운 중도인출과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지 않고, 건보료 인상이 되지 않는다는 직투와의 차이점과

ISA계좌를 활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알고 있지 못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추가적인 세액공제와 미래를 더욱 알차게 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강의 또한 저에게 너무나 큰 도움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 잊기 전에 기록하기

1. 수익률을 높이는 EFT 매매법

  • ETF 관련 비용(실부담비용율) 확인하기 (www.etfcheck.co.kr)
  • iNAV를 확인하고 매수가격과 0.5% 이내 가격으로 ETF 매수하기 

 

2. 최대로 절세를 받아보자

  • 연금저축 세액공제 대상 금액 최대 600만원
  • 연금저축 + IRP 세액공제 대상 금액 최대 900만원 (납입한도 1,800만원)

    → 900만원 세액공제 후 900만원 추가 입금 금액은 중도 인출 가능.

    금융소득과세대상 X, 건강보험료인상 X

    → 단, IRP의 경우 안전자산 30% 유지 및 중도인출이 까다로움.

    → 중도인출 보다는 연금저축담보대출도 활용 해 보자. (DSR에 영향이 있으므로 주담대 대출 이후 대출받기!)

  • ISA계좌 일반형/서민형 최대 200/400만원 비과세, 초과 시 9.9% 과세
  • ISA계좌 3년 만기 후 연금계좌 이체 시, 이체금액의 10%(최대 300만원) 세액공제 
    → 납입한도는 연간 2000만원이며, 3000만원 이체 시 최대 효과가능
  • 추후 연금 수령 시점의 세금을 고려했을 경우 부부 동일한 금액으로 납입하는 것이 효과적!

 

3. 절세계좌 활용하기

  • 연금저축/IRP/ISA : 매월 50+75/25/25+140 입금하여 S&P500 매수하기
    → 여유자금 발생 시 최대 납입한도에 맞춘 월 입금 금액 : ISA 165만원, 연금저축 125만원, IRP 25만원   
  • 최소 3년 뒤 ISA 계좌에서 200만원 수익 발생 시점에 해지 후 최소 3000만원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기

    → 연금저축계좌 납입한도 1800만원에 영향없음.

    → 3년 6000만원 이전 시 300만원 세액공제 후 5700만원은 세금없음. 

 

 

✔️ 나에게 적용할 점 찾기

  • 연금/IRP/ISA 계좌에 매월 50/25/125만원 납입 및 투자
  • 보험 정리하여 추가 납입금액 확보하기
  • 추천도서 읽기 (간접경험, 멘탈관리)

     

 

' 확률 높은 성과로 안정적으로 종잣돈을 만들자 ' 

라는 말과 함께 복리의 마법을 깊이 새기며 이상 후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user-avatar
떠라링user-level-chip
25. 02. 19. 08:00

긍정킴님 강의 후기 작성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