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기 14기 32조 버거] 3주차 강의 후기

  • 23.11.26


안녕하세요

지투기 14기 32조

3천만원 지방투자로 꿈 2룰조

버거입니다.


3주차 망구99님의

강의 수강후기입니다.


D와 E지역에 대한 지역분석..

먼저 전혀 모르는 지역에 대한

내용이라서..


투자가 가능할까?

라는 궁금점과

이번 기회에 한 번 제대로

알아보고 싶다는

기대감과 함께

강의를 시작하였습니다.


먼저 지역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들을

말씀해주셨습니다.


D와 E 지역은 유사성이 많아

함께 알아 두면 좋은 부분이

많았습니다.


지역 개요 및 입지 요소나,

가격이 보여주는 특성 및 공통점이 많아

적절한 비교군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중소도시와도

비교해본다면 유의미한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 같아,

추후 지역분석 진행 시

중소도시간 비교분석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다음으로,

각 지역별 입지분석과 가격분석을

아주 상세하게 알려주셨습니다.


특히, 입지요소별 중점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인구수의 증감뿐만 아니라

세대수의 증감을 확인하는 것,

이러한 분석 내용을 지도에 입혀

생각해보는 것 등

이전에 막연히 생각해봤던 것들의

실제 분석과정을 볼 수 있어

와닿았습니다.


또 중소도시에서만

느낄 수 있는 특성에 대한

내용도 있었습니다.

가령 환경을 판단하는 요소, 느낌 등

헷갈리고 모호한 부분들에 대해

기준을 제시해주셔서..

현장에서 선호도 확인을 할 때

매칭시켜봐야겠습니다.


이렇게 강의를 통해

매번 튜터님들의 인사이트가 있는

수준 높은 분석자료를

접하게 되는데요.


결과물에 대한 숙지도 중요하지만

스스로 임장보고서를 작성할 때

튜터님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곱씹어보고

직접 진행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강의로 들을 때와

실제 직접 해보는 것에는

많은 차이가 있더라구요.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개선해나간다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공급물량에 따른 투자 전략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공급물량이 많다는 이유로,

"이 지역은 안돼, 불가능해"

라고 치부할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투자 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점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비교해보고

나의 투자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시세트래킹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당장 투자로 이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해당 지역의 상황을

앞마당 대표단지라는

'정찰병'을 통해

주기적으로 확인토록

해야겠습니다.



망구님의 소중한 강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3강 B/M


1) 인구 입지분석 시 확인

(인구/세대수 증감, 3~50대 절대/상대적 규모)


2) 학업성취도와 실제 선호중학교 일치여부 확인


3) 리스크와 기대수익에 따른 투자 의사결정


4) 시세트래킹 단지 선정 방식


3강 1Page 정리



댓글


버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