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1. 책 제목: 몰입 확장판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 알에이치출판사
3. 읽은 날짜: 2025.02.11~18
4. 총점 (10점 만점): 8 / 10점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것: 내가 하고자 하는 목표를 정하고 몰입해서 해야 할 일을 즐기며 행복하는 살자.
[인생에서 가치있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오르막 #호감비호감 #조절메커니즘
인생에서 가치 있는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사람들 대부분의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라는 사실이다.
삶에서 성공을 이룬 사람들의 거의 대다수는 이 오르막길을 오른 사람들이다.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들은 대게 이 오르막길의 정상에 있다. 그런데 우리는 본질적으로 오르막길을 싫어하고 내리막길을 가고 싶어한다.
우리 인간의 뇌의 편도체라는 곳에서는 감정의 세기를 계산한다. 즉, 얼마나 즐거웠는지 혹은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를 계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값을 전두엽에 저장한다. 그러면 우리는 이후에 전두엽에 저장된 기억을 바탕으로 고통을 최소화하고 쾌락을 극대화하여 보상이 가장 큰 방향으로 행동한다.
생물은 다양한 조절 메커니즘을 가동함으로써 체내를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하려고 한다. 이런한 항상성의 원리에 따라 우리가 고콩을 느끼는 만큼 우리 몸 안에는 쾌락을 느끼게 해주는 도파민, 엔도르핀 등의 물질들도 쌓이게 된다.
따라서 우리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되,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라는 경험은 피해야 한다. 대신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라는 경험을 해야 한다. 그래야 다시 그 혼신을 되풀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속적으로 실천 가능한 페이스 찾기]
#마라톤 #최적의페이스 #패턴
마라톤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려면 자신만의 페이스를 지켜야 하듯, 공부를 할 때도 각장의 상황에서 최적의 페이스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입시처럼 장기간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경우에는 자신만의 페이스를 찾아서 하루 패턴을 만들고 이것을 반복해야 한다. 그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가 누적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충분한 수면 외에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규칙적인 활동도 일상의 패턴에 포함 시켜야 한다.
[Work Hard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Think Hard #순응 #후회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현실적인 어려움과 능력의 함계에 부딪히더라도 정말 중요한 문제, 그리고 꼭 해결해야하는 주제를 선택해 최선을 다해 연구하면 후회가 없을 것이다.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이상 잘하기고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야말로 열심히 생각하는 것에 인생을 송두리째 던져볼만했다. 이른바 “Work hard”의 패러다임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일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탄 것이다.
[내 의식에 무엇을 올려놓을지 결정하라]
#무의식 #무대 #자극의경쟁
어두운 곳에 있는 무의식끼리는 서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소통이 어렵다. 그러나 무대 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의식의 내용은 무의식의 관중들에게 생중계된다. 따라서 무의식은 의식을 관찰 할 수 있는 것이다.
자극의 세기가 큰 내용이 의식의 무대를 차지한다. 의식이 통제력이 있으면 자신이 원하는 의식의 내용을 무대 위에 올려서 원하지 않는 의식의 내용을 무대 밖으로 내쫓을 수 있다. 이 때 의식의 통제력을 집중력 혹은 몰입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의식의 내용이 무의식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가 나의 의식에 영향을 준다. 의식과 무의식이 서로 의사소통하면서 나라는 사람이 만들어지고 나의 삶의 행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내 삶의 행로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식의 내용을 통제하는 것이다. 결국 나의 삶의 행로의 확률은 이 의식의 무대 위에 어떠한 내용이 올려져 있느냐에 영향을 받는다. 의식의 무대를 누가 차지할 것가는 ‘자극의 경쟁’으로 결정되므로, 우리는 자극적인 내용에 본능적으로 끌려가게 되어 있다. 소모적이거나 자극적인 내용이 무의식에 생중계 되기 때문에 내 인생이 제대로 굴러갈 수가 없다. 내 의식의 무대 위에 현재 나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 하나를 올려놓고 스포트라이트를 계속 비춰주면, 나의 무의식에서 그 문제를 해결해낼 탁월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솟아오르는 순간을 분명히 경험할 수 있다.
[몰입하는 방법]
명확한 목표 설정 →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설정 → 불필요한 정보 차단 → 혼자만의 공간 선정 → 규칙적인 운동 → 단백질 위주의 식사
[천천히 생각하기의 중요성]
#슬로우싱킹 #명상
분명한 것은 걱정이나 스트레스 자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유도한 몰입 상태가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것은 몰입이지 걱정, 스트레스 또는 위기감이 아니다. 따라서 역기능을 주는 걱정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주는 몰입의 효과를 최대화하려고 노력해야 하며 이러한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명상에 가까운 행위다. 온몸에 힘을 빼고 목을 뒤로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 명상을 하듯이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 다음, 자신이 고민하는 문제를 아주 천천히 생각한다.
[경험과 학습으로 변화하는 시냅스]
#가소성 #시냅스 #환경
신경가소성을 우리가 어떤 행동이나 생각을 하면 그 결과가 시냅스의 영구적인 변화로 이어져 종래에는 우리의 인격과 미래를 가꿀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우리의 행동이나 생각이 우리 외에 아주 미세하게 새겨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우리는 우리 자심의 시냅스를 원하는 방향으로 배선할 수 있다. ‘심은 대로 거둔다’라는 인과법칙이 우리의 신경계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우리 뇌에 어떤 시냅스가 형성되느냐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 찬의력과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시냅스가 발달하면 좋을 것이고, 내가 해야 할 일을 재미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시냅스가 발달해도 좋을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시냅스가 발달해도 좋을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시냅스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경험이 입력되어야 한다. 입력은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으므로 나를 좋은 환경에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나에게 주어진 환경을 바꾸기란 쉽지 않다. 우리가 가장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입력은 나의 생각이다. 생각에 의한 입력은 우리가 선택할 수 있고 노력에 의하여 크게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삶과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 그리고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의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내가 나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은 뇌과학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다.
[고도의 몰입으로 대회를 휩쓸고….]
몰입을 할 때 문제를 풀 수 있을지 여부에 집착하게 되면 큰 방해가 된다. 결과에 대한 집착은 일종의 걱정이나 불안이 우리의 뇌 작업기억의 일부를 사용하게 된다. 즉, 생각을 온전히 한 문제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문제를 설정했다면 그 후에는 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지 여부는 생각하지 말고 ‘이 과정에 내가 최선을 다하겠다’라는 자세로 임해야 몰입도를 끌어올리 데 도움이 된다.
P76~78) “참으로 중요한 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은 그 생활이 단순하다. 그들은 쓸데없는 일에 마음을 쓸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P94~96) 내 삶의 행로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식의 내용을 통제하는 것이다. 결국 나의 삶의 행로의 확률은 이 의식의 무대 위에 어떠한 내용이 올려져 있느냐에 영향을 받는다.
P97~100) 몰입이 잘 일어나기 위해서는 절실함을 가져야 한다. 쉽게 말해 ‘여기에 내 목숨이 달려 있다’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P262~264)내가 어떤 활동을 하느냐, 그리고 무엇을 생각하느냐에 따라 주어진 일에 대한 시냅스의 형성이 영향을 받고 그 결과 주어진 일에 대한 나의 감정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내가 나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은 뇌과학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다.
P272~273) 내가 살아 있는 시간이 유일한 기회이고 이 삶의 기회를 잘 보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나한테 달려 있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김당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