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배움으로 성장하는 요배배입니다 .^^
3주차 강의는 임보특강으로 유명하신 망구99님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망구님의 강의는 처음 들었는데요 가녀린 체구와는 다르게 똑 뿌러지는 설명으로
잘 알지 못했던 중소도시 D/E 지역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절대적 가격은 싸지만 공급이 많은 곳
강의를 듣기 전이였다면 리스크가 무서워 임장 후순위로 두었을 텐데요...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따져보고 투자결정을 할 수 있다는 방법을 배웠기에
빠른 시일안에 그곳으로 가보고 싶어졌습니다. ^^
지역분석 내용도 좋았지만 이번 강의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투자포인트, 시세트래킹 내용이었는데요, 그럼, 강의후기 정리해보겠습니다.
1. 투자 의사결정 방법
입주물량이 많고 가격이 싼 시장에서 어떤식으로 생각하고 투자를 결정할 수 있는지
의사결정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리스크 크다고 무조건 피할게 아니라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따져보고
투자를 한다 VS 못한다 VS 기다린다등 결정하기 까지의 과정을 시물레이션 해보고
결정을 했다면 그에 맞는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투자하기로 결정을 했다 하더라도 이후 내가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 용기가 없다면
기다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라고 해주셔서 상황은 같더라도 나의 상황에 따라 결정이 달라 질 수도 있겠구나.. 메타인지를 잘 해서 투자결정을 해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의사결정 과정에 대해 설명을 들을 때는 이해가 쏙쏙 잘 되었는데
스스로 결정할 때 잘 될지 모르겠지만 강의내용을 참고해서 종이에 적어가며
적용해 보도록 해야겠습니다.
2. 시세트래킹 다시 즐겁게 해보자!
시세트래킹을 하는 이유와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셔서 다시 한번 시세트래킹의 중요성에 대해
상기할 수 있었습니다.
병정들을 세우고 투자기회 신호를 캐치하는 것!
단지선정도 무작정 하는게 아니라 랜드마크 단지와 나의 상황에 맞는 단지를 선정해야 한다는 것!
특히 비싼지역은 단지 선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왜 해야하는지 의미를 잘 몰랐는데
비싼 지역은 중하위 생활권에 내가 투자할 수 있는 범위의 단지들을 넣어도 된다고 해주셔서
어느 정도 기준이 잡힌 것 같습니다.
시세트래킹을 한달에 두번 하고는 있는데 하기 싫었던 적도 있고, 변동성도 적어서 이게 무슨 의미인지 궁금했었는데요, 이번 강의에서 중요성을 정리해주셔서 좀 더 즐겁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투자활동 꾸준히 할 수 있었던 이유
강사님께서 여태까지 투자활동을 이어올 수 있었던 이유를 7가지(원씽, 효능감, 환경, 마인드, 신뢰, 행복버튼)로 자세히 알려주셨는데요, 정말 이 7가지도 안먹힐때는 그냥 쇼츠도 보면서 쉬었다고 하셔서 인간미가 느껴졌습니다. ^^
다들 힘든건 마찬가지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고 나만의 행복버튼은 무엇일지 찾아봐야겠습니다.
[ BM ]
집중력 있게 좋은 강의 해주신 망구99님 감사합니다.
임보특강도 꼭 들어보고 싶은데 신청해봐야겠습니다. ^^
댓글
요배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