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계좌 2개 활용방법

안녕하세요!
재테크 기초반을 수강하고 있는 별냥입니다.

 

연금저축계좌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연금저축계좌를 세액공제 받는 용 (한도 600) , 세액공제 받지 않는 용 2개로 나누어 활용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왜 두 개를 나누어 활용하는 것이 좋은지 (단지 세액공제 받은 돈과 받지 않은 돈을 구분하는 것이 편리해서 인지) 

세액공제 받지 않는 계좌와 중개형ISA 계좌가 다른 점이 무엇인지, 

  • 연금저축의 경우 5년 가입 의무기간, 모든 세금 감면?, 추가 인출 시 납부 세금 없음
  • ISA 중개형의 경우 3년 의무기간, 비과세 (서민형과 일반형 각 400 / 200 한도), 인출 시 비과세 금액 제외 9.9%?

정도로 이해하였는데 ISA 보다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아직 차이점을 모르겠습니다. 

 

저의 경우 1,000 만원 정도 투자를 하려고 하는데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않는 돈일 경우 (결정세액 0) 

연금저축계좌를 활용해야 하는지, 중개형 ISA(서민형) 을 활용해야 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ㅠㅠ 


댓글


젴크크user-level-chip
25. 02. 22. 21:48

BEST | 안녕하세요 별냥님 저도 연금저축계좌 광화문금융러님께 배우고 신세계가 열려서 한차례 열공을 했었습니다. 1. 연금저축계좌를 2개 이상 쓰는 궁극적인 이유 이해하고 계신 것 처럼 세액공제를 받는 용과 받지 않는 용을 물리적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게 편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증권사까지 분리하여 관리하는데요. 연금저축계좌의 최대 장점은 과세이연인 반면, 최대 단점은 중도인출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하기 쉬운데, 중도인출이 불가능한 이유는 과세이연이라는 것을 연결지어 생각하는 방법을 금융러님이 알려주신 거에요. 즉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연금저축계좌에서는 수익금의 과세이연 혜택은 받으면서 언제든지 필요시에는 돈을 중도인출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해볼게요 - ① 미래에셋 연금저축계좌(세액공제 받는 계좌) ㄴ 600만원 납입하여 장기투자, 중도인출 없음 - ② NH투자증권 연금저축계좌(세액공제 받지 않는 계좌) ㄴ 300만원 납입하여 장기투자, 필요시 중도인출 이렇게 운용을 하는 것인데요 이렇게 되면, NH투자증권의 연금저축계좌의 원금 300만원은 세액공제 대상은 아니지만, 300만원을 ETF에 투자하여 발생하는 수익금은 그대로 과세이연의 혜택을 받는 계좌가 되는 것이죠. 이러면, 이 연금저축계좌는 중간에 내가 입금한 원금만큼은 언제든지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우리나라는 해외 주식에 투자하여 발생하는 수익에 대하여,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절세계좌인 연금저축계좌에서는 양도소득세(15.4%)가 과세이연되어, 연금으로 수령 시 연금소득세(3~5%)로 절세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노후 대비에 굉장한 혜택이 있습니다. 최대한 잘 설명해보려고했는데 이해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여기까지가 연금저축계좌와 2개의 연금저축계좌를 쓰는 이유입니다. ------ 2. ISA계좌에 대해서 일단 ISA계좌에 대해 이해를 잘 하고 계십니다. ISA계좌의 혜택을 연금계좌와 비교하자면, ISA 계좌의 메인 혜택은 과세이연이 아닌 '비과세' 혜택입니다. - 3년동안 투자하여 발생한 수익금의 200만원에 대해 아무 세금이 붙지 않습니다(서민형 400만원) - 3년동안 투자하여 발생한 200만원을 초과하는 수익금에 대해 9.9% 저율과세합니다 즉, 일반계좌에서 투자했더라면 그대로 15.4%의 세금이 내는 것을 비과세 혹은 저율과세 하는 것이 메인 혜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라, ISA계좌의 납입금은 연금저축계좌의 연 납입한도와 별도로 그대로 연금저축계좌에 이체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들어볼게요. 연금저축계좌의 납입한도는 1년에 1800만원입니다. 1년에 1800만원을 모아도 10년이면 1억 8천만원. 물론 큰 돈이지만 긴 노후에는 부족한 돈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때, 3년마다 ISA계좌를 만기해지하며 6천만원씩 연금저축계좌에 넣는다면 큰 목돈을 연금저축계좌에 넣을 수 있게됩니다. 10년을 가정하였을 때, 총 3번 ISA 계좌에 넣은 6천만원을 넣었다면 연금저축계좌의 총 원금은 3억 6천만원으로 ISA계좌를 활용하지 않은 것에 비해 2배의 원금을 넣을 수 있습니다. 거기에, 연금계좌에서 계속 과세이연을 발생시켜 연금소득세만 발생하는 돈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절세혜택이 극대화되는 것입니다. ----- 결과적으로 ISA계좌와 연금저축계좌 2개 이상, 활용을 최대한도로 한다면 당연히 좋습니다. 하지만 우리 삶이 그렇게 쉽지는 않죠. 아마 고소득자라고 하더라도 모든 절세계좌의 납입한도를 매년 꽉꽉 채우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 노후를 대비할 것이라면 연금저축계좌에 조금 더 많은 돈을, - 단기적인 목적으로 돈을 쓸 일이 앞으로 많을 것이라고 생각된다면 ISA계좌에 조금 더 많은 돈을 납입하시는 것이 합리적인 판단으로 생각됩니다. ----- 1000원은 오타일 것 같네요. 1년에 1000만원을 투자하실 수 있는 상황으로 생각됩니다. 제가 별냥님의 상황을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어느 계좌에 얼만큼 넣으라고 무턱대고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단, 일반적인 직장인이 1년에 천만원을 투자할 수 있다면 300~400만원정도를 연금저축계좌에 넣어 과세이연 혜택을 받으면서, 600~700만원정도를 ISA계좌에 넣어 연금저축보다 언제든지 중도인출 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하고 3년마다 ISA계좌를 해지하여 내가 필요한 돈은 일반 계좌로 인출하고, 노후를 위한 돈을 연금저축계좌로 넘기는 것이 맞을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1년에 300~400 정도 넣는 돈이 아쉬워서 나중에 부동산 투자가 망설여질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부동산은 아무래도 큰 돈이니까요! 저정도는 노후로 보내놔야 합리적인 자산의 분배라고 생각해요. 내 노후자금까지 끌어다가 투자하는 것 보다는요. 도움 되셨기 바랍니다!

anittauser-level-chip
25. 03. 11. 08:26

저도 별냥님처럼 궁금했는데요~ 첵크크님의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