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1기 10조 턱뚠뚜니]

  • 23.11.27

2주차 지방에서 내집마련 잘하는 법


지난 1주차에서 너나위님이 내집마련 및 갈아타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시고, 2주차는 코크드림님이 조금 더 디테일하게 지방에서 내집마련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상세히 강의를 해주셨다.




1.지방에서 내집마련 할 때 중요한것에 대해서 3가지로 나눠보면


첫 번째는 인구수가 곧 수요와 직결된다는 것

두 번째는 지역별로 선호하는 곳에 대한 차이, 즉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

세 번째는 입지vs년식의 중요성을 어디에 둬야 할지

단지의 가격을 보면서 확연히 알 수 있었고, 광역시에서는 무엇보다도 입지가 중요하고 중소도시에서는 연식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check!




2.현재시장상황을 광역시, 중소도시, 랜드마크의 가격등을 통해서 비교해보면서


광역시에서는 선호있는 지역에서는 이미 전고점 대비 회복을 많이 했고, 하락 또한 그렇게 크지 않지만 중소도시에서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하락폭 또한 크고 전고점 대비 회복하는 속도도 더딘 것을 가격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입주물량과 미분양을 같이 보면서 향후 전세가가 오를 가능성이 있는 곳을 추가로 확인 했다.


하지만 공급물량은 언제든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체크하면서 미분양의 증감여부를 보고 전세가의 추이를 확인해봐야 겠다




3.광역시 및 중소도시에서 내집마련 시 알아야 할 기준에 대해서, 광역시는 절대적 1등 학군이 전세가 방어도 잘 되고 시세차이 또한 컸다. 1등 학군지라면 구축 또한 괜찮은 선택이며,


중소도시에서는 빈땅이 많아 입지독점성이 없기 때문에 신규택지가 생기는 곳이 선호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신축이 공급이 많이 되면서 택지를 이루는 곳을 선택해야 하고,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평균 입지 이상인 곳에 대해서 알려주시면서 평균 입지 이상인 곳의 평균 가격 및 선호 단지들의 가격을 비교해 보면서, 아! 여기는 평균 매매가와 전세가가 이 정도 되는지에 대해서 감을 잡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거주와 보유를 분리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내 예산에 따른 후보 단지를 어떤 식으로 고르는지 실제 예시를 금액대별로 나눠서 이야기하면서 지방에서의 내 집 마련과 갈아타기에 대한 실제 적용에 대해서 배웠으며 지방에서의 내 집 마련에 대한 기준이 확실히 잡을 수 있어 앞으로의 어떤 기준과 방법으로 내 집 마련을 해야 할지 확실하게 정리가 됐다.


댓글


턱뚠뚜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