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청년버팀목전세자금 대출로 살고 있는 집을 연장을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안녕하세요. 

 

오늘 은행을 방문을 하긴 할 거지만 그전에 한번 질문글 남겨봅니다.. 

 

제가 살고 있는 집의 실질적주인은 할아버지, 할아버지께서 몸이 좋지 않으셔서 관리자는 며느님이었습니다. 

계약을 할때도 며느님이 오셔서 처리 해주셨구요. 

전세 집 만기 2개월전에 연장여부를 알려드리기 위해 며느님께 연락을 드렸습니다. 

네네 알겠다고 했고

 

한달뒤에 대출 연장을 할 예정이고 은행상담을 받아보려한다. 혹시 임차보증금 월세의 변동이 있을까요 ? 했는데 

변동은 없게 할건데 한달사이에 할아버지(실질적 집주인) 께서 사망을 하신 상태라 

이 절차가 조금 복잡하고 길 거 같다. 혹시 정리 되고 3월 쯤에 계약서를 써도 되겠냐고 하셨습니다. 

이걸 은행에서 뭐라고 할 지 모르겠다. 알아봐달라고 말씀하셨어요. 

 

 

[저의 상황을 정리해보자면]

  1. 집주인 : 할아버지 / 직접적 관리자 : 며느님
  2. 저는 3월 30일로 집 계약 만료, 1년 계약 연장을 원함, 보증금/월세 동일하다고 며느님과 말한 상태
  3. 집주인 (사망) 상태 - 상속 과정과 세금 문제 절차가 아직 진행중인 듯 

 

이런 경우 

 

  1. 대출 연장가능여부는 은행을 가면 알 수 있나요? 아니면 금융감독원과 상의를 해봐야하나요?
  2. 재계약을 할 때 계약서는 어떻게 작성을 해야하고, 필요한 서류가 있을까요?
  3. 묵시적 연장이 된다고는 하는데 그렇게 되면 저는 2년을 살아야합니다. 제가 원하는 계약은 1년이라 어짜피 계약서를 다시 써야하는 상황인데, 이런경우 어떻게 하면 될까요?

 

 

질문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장 이 집이 한달 남은 상태라 불안하고 머리가 아프네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후안리user-level-chip
25. 02. 26. 17:29

이케디님 안녕하세요 만기가 얼마남지 않아서 당황스러우실 것 같아요! 묵시적연장을 하셔도 이사 3개월 전에만 말씀드리면 2년을 다 살지 않으셔도 나가실 수 있습니다! 대출연장부분은 은행에 문의해보시는게 제일 정확하실 것 같아요!! 궁금하신 사항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흔전만전user-level-chip
25. 02. 26. 17:30

안녕하세요 이케디님~ ^^ 며느님이 상속 절차 밟으시고 계약서를 며느님과 작성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사실 묵시적 갱신이라고 한다면 세입자는 언제든지 3개월 전에만 말한다면 나가실 수 있어서 날짜는 상관없으실 것 같아요! 다만, 보증금 대출 연장에 관해서는 은행 담당자하고 해당 상황을 얘기해보고 상담받아보심이 맞을 것 같아요 그럼,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