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30기 월급을 벗삼아 투자를 13조 제꾸] 1강 후기 : 일단 씨앗을 심자!!!

  • 25.03.08

 

 현재 부동산 시장부터 수도권 투자의 A부터 Z까지의 많은 내용들을 

긴 시간동안 열정적으로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 상황 

 

-심리 : 24년 하반기에 이어 거래랑 감소 추세이고 토지거래허가구역 제한이 풀려서 가격을 잘 지켜봐야하지만 아직은 매수자 우위시장인 건 맞다. 

-가격 : 상급지는 전고점 회복 후 신고가 갱신중이고, 중하급지는 전고점 대비 하락하였으나 약반등 후 보합상태. 가격이 양극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세가율 상승세. 

-수요와 공급 : 수도권 물량부족이 심각. 수요 대비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상황. 

 

26,27년 공급물량을 보면 올해 반드시 수도권에 투자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중하급지는 아직 안 오른 곳도 많고 네이버 호가보다 실제 시장에서는 가격이 깎일 수 있으니까

네이버 호가만 보고 있지 말고 직접 시장에 참여해서 가격을 느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도권 앞마당 만들면서 마무리를 계속 짓지 못한 채 다음으로 넘어가고 있어서 매듭을 지으면서

투자물건을 찾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수도권 아파트 투자 기준  

 

가격 = 입지 + 상품

입지 > 상품

수도권은 위치가 중요하다

 

광진구 앞마당 원페이지 만들면서 위치가 별로인 신축과 학군+교통이 좋은 구축의 가격이 같았다. 신축이 아무래도 전세가가 높아서 투자금이 적게 드니까 신축이 더 좋은 게 아닌가? 라고 생각했었는데 수도권은 위치가 중요하다. 10년 후의 가치를 생각해보라. 10년 후에 그 입지 안 좋은 신축이 입지 좋은 구축보다 더 가치가 있을까? NO. 

내가 또 신축에 눈이 멀어서 입지보다 상품을 먼저 봤구나라고 반성했다. 

-싼가? 전고점대비 60%하락

-감당가능한가? 전세가율 서울은 60%, 경기인천은 70%이상

절대가가 비싸다고만 생각 하지말고 내가 감당 가능하지도 않는 좋은 것도 바라보지 말고 

수도권 투자 기준에 맞춰서 투자후보 단지를 찾는 노력을 해야겠다. 

정수리를 열고 받아드려라!!! 여기는 입지가 먼저다!!! 

 

수도권 투자 전략: 가치성장투자 vs 소액투자 

 

내가 가진 투자금으로 수도권 투자가가 가능하다고 어드바이스를 받아서 

12월부터 수도권을 임장하고 다니는데 읭? 내 투자금으로는 택도 없는데 뭘 하라는거지?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수도권도 소액투자를 해야하는데 수도권 외곽을 투자하려면 

지방 투자와 비교해 보고 

1.더 저평가된 물건, 2,투자금이 적게 드는 물건 3.투자하기 좋은 유리한 조건의 물건 일 경우에만 투자한다고 생각하고 수도권이니까 지방보다 무조건 오를 거야 하라고 생각하지 말고 

가치 있는 자산을 사서 보유해 나간다는 관점으로 접근하자. 모르고 맞지 말고 알고 맞아야 덜 아프다. 

지금 투자할 단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마냥 기다리고만 있지 않겠다. 

앞마당을 꾸준히 만들고 그 중 제일 좋은 단지 10개 선정 후 최종 3개로 압축한 뒤 투자를 진행하겠다. 

 

투자 로드맵 : 투자하는 직장인 VS 직장인 투자자 

 

맞다. 나는 직장인 투자자를 목표로 해야하는 사람이지. 

잠시 까먹고 있었던 거 같다. 

한참 열심히 하다가 정신 줄 놓으니까 바로 예전으로 돌아가버렸다.

마스터님 말씀대로 예전으로 돌아가는 건 너무나도 쉽다. 

그냥 회사 다니면서 때되면 승진도 하고 월급도 오르고 

절약이 몸에 베서 종잣돈도 잘 모이고 하니까 지금 생활에 안주했던 거 같다. 

퇴근하면 유튜브  보고 일찍 자고 임보를 잘 안 썼던 거 같다. 

폭설 내리는 날 회사 가겠다고 평소보다 일찍 일어나서 차 놔두고 버스 타고서 출근하는 k-직장인인 나. 

그렇게 직장을 가듯이 투자도 그렇게 해야 하는데 혼자한다고,  날씨가 너무 춥다고 내 마음대로 휴식하고 임보도 제대로 안 썼었다. 

수업 들으면서 많은 반성을 했다. 

직장인 투자자로 직장생활 하듯이 투자 생활도 해야지. 왜 취미처럼 생각했지? 전업으로 해야하는데… 

 

기준에 맞는 것을 찾아서 투자한다. 

기준에 맞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는다는 대원칙을 꼭 지켜야한다고 강조하시는 마스터님 목소리가 

아직도 귀가에 들린다. 

기준에 맞지도 않는 것에 너무 마음이 쏠렸던 거 같다. 감당가능하지도 않는 단지를 보면서 왜 고민하는건데? 

투자 기준에 맞는 것 중에 제일 좋은 물건을 투자한다. 

뚜렷한 결과가 당장 보이지 않아도 뚜벅뚜벅 걸어간다. 

성과는 반드시 보인다. 

 

실전반 1강답게 수도권을 바로보는 기준과 투자전략을 배우고 

앞으로의 마인드셋을 할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마스터님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제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