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14기 유(6)레카 외치고 저평가 단지 싹쓰리(3)하조 우아할] 3주차강의 후기

  • 23.11.29



망구님의 3강 지역강의!


전세가율이 높고 매매가가 싼 지금이 너무 좋은 투자 기회다 말씀 주셨다.

올 여름, 월부 생활을 시작한 이래 모든 강사님들이 하나같이 하시는 말씀이다 =)

이렇게 좋은 시기를 만나서, 꼭 기회를 놓치지 않았으면 하신다고.

다만, A/B 지역은 다른 지방처럼 주변에 빈 땅이 많기 때문에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A/B 지역은 인구가 감소하거나 증가추세가 멈추었지만, 세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단순히 지방소멸하니 지방은 투자할 수 없다고 단정짓지말고, 주택구매 수요가 있는 인구가 얼마나 있는가 확인할 필요가 있다. 투자할 수 없는 핑계일 뿐이다.


다만, 선호도를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선호하지 않는 단지는, 지난 상승장에서도 계속 오르지 못하고 꺽이는 모습을 보였다.

거꾸로 말해서, 이것으로 선호도를 미리볼 수 있고, 앞으로의 투자에 힌트가 될 수 있다.

(이미 정답이 나와있는 것이니 얼마나 좋은가!)

-> 지역내 선호단지를 미리 파악해놓고 타이밍이 왔을때 놓치지않는 것이 너무나 중요한 시장이다.


지방 중소도시라고 모두 일률적으로 신축만이 정답은 아닐 수 있다.

이번 A지역은 명확한 학군지가 있다. (광역시와 유사한 느낌) 대체 불가능한 입지 가치가 있다는 의미


지기반에서 거듭 공급 물량을 섬세하게 살필 것을 강조하신다.


우리는 전세 레버리지를 이용하는 투자자기때문에 전세가에 영향을 미치는 공급물량 확인이 필수이다.

한가지 방법으로, 과거에 전세가가 빠지거나 오르지 못한 시기를 파악해보면,

이 지역에서 얼마만큼의 물량을 소화해낼 수 있는 캐파가 있는지 알 수가 있다!!


입주물량 많은데 가격이 싼 시장이다.

즉, 리스크가 크니까 그만큼 기대수익이 커야 투자할 가치가 있다.

그리고 이 리스크도 모두 개인마다 사정마다 다를 수 있다.

나에게 이 리스크가 얼마나 큰지 판단이 필요하다.

공급이 많다고 무조건 피할 것이 아니고 꾸준한 트래킹이 필요하다.


대표단지로 매매가/전세가 흐름을 살펴봐야 하고

-> 투자 가능성이 보이면

-> 지역 전체를 살펴보며 투자단지를 선정하기


자꾸 집중력이 흩어지는 시즌이다. 다시금 강의내용도 복습하고 재강하면서 가다듬자.


BM 가능한 확인한 모든 내용을 지도위에 올려보기. 그래야 감이 올 수 있다.

BM 가격대별로 묶어서 보기. 5억대, 4억대, 3억대!

BM 공급 물량/입주 캘린더 작성하기. 입주 예정 단지 지도에 올려보기.

BM 시세 트래킹해야 앞마당 만든 의미가 있음. 주기적으로 점검 필요하다. 단지 선정까지 하기.

: 지역내 랜드마크, 생활권 랜드마크, 생활권별 대표단지 1~2개 (저렴지역 중상위, 비싼 지역 중상위)




댓글


우아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