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장] 투자회수: 통념을 거스르는 성공
17 자신의 이익보다 셰이더의 입장을 우선시했고, 셰이더가 다른 선택지들을 충분히 검토하도록 여유를 주었다.
19그것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27 호닉이 일하는 모습을 본 셰이더는 항상 사업가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그를 깊이 존경했다. 당연히 그는 다른 투자 기회가 있을때마다, 가장 먼저 호닉을 찾았고. 다른 사람에게도 열심히 추천했다.
타인은 기버에게 눈앞에서 나에게 도움을 주는게 아니라 , 눈에 보이지 않는 엄청난 도움을 준다.
38 링컨과 호닉의 선택이 처믕에 손해로 보인 이유는 우리가 시간의 지평선을 충분히 길게 잡고 내다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버가 신회와 신용을 쌓는데는 시간이 걸리는 기버가 유리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사실.
→ 뭔가 투자와도 일맥 상통하는것 같다, 결과가 눈에 바로 보이는 행동이 아닌, 긴 시간의 지평선으로 봐야하는 기버마인드, 기버 마인드를 갖는다면, 당연히 투자도 성공하지 않을까?? 키포인트는 기다림인것 같다.
46 부 권력, 쾌락 보다 유익함 책임 사회적 정의 동정심.
47. 대가는 바라지 않아요, 그저 타인의 변화를 돕고 영향을 주고 싶은것 뿐이에요, 누가 내 도움으로 가장 큰 이익을 얻는지에만 집중합니다.
→ 대가를 바라지 않아야 진짜 기버로 나아가는것, 내가 과연 대가 없이 행동하였나?
50.컨퍼런스의 진짜 가치는 그러한 대화와 새로맺은 인간관계에 있습니다.
→ 결국 관계가 중요하다.
58. 존경심 황금률 그리고 완전한 진실성. 내가 행동거지 하나하나에 엄격한 규범을 세우고 그것을 지키며 살아왔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내 주변에 없을 겁니다.
=> 상대에 대한 진심과 존경, 그리고 나에 대한 엄격함이 성공을 이끈다. 타인에겐 관대하게 나에겐 엄격하게!!
63.상식과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타적으로 행동할 수록 관계에서는 더 많은 이익을 얻습니다. 다른 사람을 도와주면 금세 평판이 좋아지고 가능성의 세곅 넓어집니다.
=>관계에서의 이익이, 평판으로 이어져 결국 나의 파이를 키운다.
65. 인간의 진정한 가치는 그가 자신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사람을 어떻게 대하는가에서 드러난다.
67.테이커라는 평판이 널리 퍼질 경우 결국 기존의 관계가 끊기고 새로운 관계로 이어지는 잠재적인 다리마저 불타버린다.
73. 자만심을 드러나는 사진, 자기 애기에만 신경쓰는 대화, 그리고 엄청난 연봉차이,,가 테이커의 신호.
75.테이커가 올린 정보는 자화자찬에 자기중심적이고 자만심을 강하게 드러낸다는 평가를 받았다.
78.내 인맥은 천천히 구축되었습니다. 나와 관계가 있는 사람들이 보다 나은 인생을 살아가도록 돕고 싶다는 마음으로, 일상생활의 소소한 부분에서 친절한 태도와 행동을 지속하다 보니 시간이 흐르면서 인맥이 구축된 겁니다.
→ 소소한 부분에서 친절한 태도와 행동을 한다. 상대를 돕고 싶다는 마음으로
81. 테이커와 매처도 네트워크의 맥락 속에서 무언가를 배풀지만 그들의 행동은 전략적이다. 그들은 배푼 만큼 혹은 그보다 더 많이 돌려받기를 기대한다.
→ 진심에서 나오는 배품을 한다, 전략적 돌려받으려는 배품은 의미가 없다.
85. 당신이 누군가를 도와줄때마다 준 만큼 받는다는 원칙을 고집하면 인맥은 훨ㅆ니 더 좁아질 수밖에 없다.
→ 호혜원칙을 벗어나자!!
85. 상대가 어떤 사람이든 일단 누군가를 만나면 “내가 이 사람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자문해보라고 권한다.
93. 그는 사려깊게 질문하고 참을성있게 이야기를 들어주었다. 그 사업가가 이야기하는 14분 동안 리프킨은 한번도 끼어들지 않았다.
→ 상대와의 대화시 , 사려깊은 질문과 경청.
106. 생산성이 떨어지는 기버는 어쩌다 한번씩 남을 돕는 사람들뿐이다. 남을 자주 돕고 그보다 적게 도움을 받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기버로 지위는 물론 생산성이 가장 높았고, 동료들의 깊은 존경을 받았다.
123, 겉보기에 완전히 저적 능력에만 의존할 것 같은 작업에서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사으로 주변 사람들이 성공을 좌우한다.
→ 나의 능력보다, 주변의 도움으로 성과가 보였다,, 주변 사람들의 영향이 크다.
129. 기버가 협업할때 보이는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들은 자신의 이익이 아니라 조직 전체에 가장 큰 이익을 주는 일을 맡아서 한다.
→ 조직 전체에 가장 큰 이익을 주는 역할을 생각하고, 그것을 맡는다=> 조장 , 반장 등이 아닐까??
130. 탐험 행동이란 집단의 목적과 사명을 먼저 생각하고 자신과 타인에게 똑같은 정도로 관심을 솓는 것을 말한다.
→ 타인에게 관심을 쏟는 부분이 부족한데, 타인에게 무심함에서 벗어나 먼저 다가가 관심을 갖도록 노력해야겠다,,!
147.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놓도록 우리를 독려했고, 깍아내리는 일은 전혀 없었습니다, 또한 그는 항상 경청하며 우리의 의견을 물어보았지요.
→ 통제나 억압이 아닌 독력와 경청,,! 올해 한번 직장에서 해보고싶다.
153. 이상황에서 저 사람은 어떻게 느낄까? 라고 자문해볼 필요가 있다.
171. 타인을 잘 믿지 못하는 테이커 중에는 그런 사람이 드물다, 테이커는 타인의 의도를 의심하고, 상대가 자신을 해칠지도 모른다고 잔뜩 경계하면서 사람들을 불신과 의혹으로 대한다.
→ 내가 그랬던것 같다,, 불신과 의혹으로 믿음을 주지 못했던것 같다,, 이렇게 지도하면 힘들어지겠지? 가 아니라,, 타인의 말이나 행동의 의도를 의심하지 말자. 모든 사람에게서 잠재력을 찾으려 하자.
193. 기버는 비판을 받아들이고 충고를 따랐다.
BM>
나누기, 거짓 나눔 금지.
2. 타인에 대한 관심 갖기, 무심함이라는 성격적 특성 버리기. => 타인의 관심이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한다고 볼수있지 않을까?
3. 소소한 부분에서 친절한 태도와 말투 , 행동을 한다. 상대를 돕고 싶다는 마음으로
4. 대화를 할때 내가 가 아닌 "우리" 체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여 우리를 우선시 하기.
5. 내가 좋은 리액션이 안나올것 같을때, 이 상황에서 저사람은 어떻게 느낄 까라는 질문 던지기.
댓글
훈티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