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안녕하세요.
투자자로 성장 중인 쓸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2강을 통해서 더 나은 투자와 더 버는 투자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굉장히 좋았습니다.
A 생활권이 앞마당은 아니지만 튜터님 말씀처럼 A 생활권은 재료일 뿐 어떻게 비교 평가 하면 좋을지
그 기준을 배운 것 같아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에서 튜터님이 항상 선택을 할 때 아쉬운 결과를 초래하는 이유가
더 가치 있으면서 저평가 된 물건을 찾아야 하는데 더 싼 단지를 찾기 때문이다. 라는게
어떤 의미인지 와 닿았습니다.
“어? 나는 아닌데?” 라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비교 평가를 할 때 되니 일정 금액대 이상에서 저도 모르게 선을 긋고 있더라구요.
이미 싸다면절대가가 높아도 더 선호하는 단지를 골라야 한다!
실은 이 기준에 대해 강사님과의 만남에서 코크드림 튜터님께도 질문한 적이 있는데
같은 말씀을 해주셔서 그 때부터 비교 평가 시 엄청 적용하려고
그리고 높은 절대가에 대한 벽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서울/수도권 아파트는 좋다 싫다가 아니라 더 좋고 덜 좋다 입니다"
서울/수도권 자산의 가치가 어느 정도인지 다시 한 번 깨달았던 것 같습니다.
결국 우리는 잃지 않는 투자를 해야 하고 그랬을 때 오히려 수익률 관점에서 훨씬 더 유리하다는 점
워런버핏-
"좋은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사는 것이, 평범한 기업을 헐값에 사는 것보다 낫다"
언젠가 어느 칼럼에서 이 문장을 보고 머리를 한 대 얻어 맞은 느낌이었습니다.
그때는 지금보다 서울/수도권 아파트가 더 쌌는데도 불구하고 더 가치있는 것보다
더 싸고 전고점에서 많이 빠진 것들을 고르다보니 비선호 생활권이 1등으로 막 뽑혔었는데요.
그렇게 내가 뽑은 매물이 잘 된건가 긴가민가 하던 중 저 문장을 보고 와,, 아니구나 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강의에 튜터님께서 이 명언에 빗대어 우리의 투자 기준을 한 번 더 풀어주셔서
얼마나 유용했는지 모르겠습니다.
투자 기본을 지키면서도 더 나은 투자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주셨습니다.
"약점 있는 단지 공략"
튜터님의 비유는 진짜 찰떡인게, 예전 강의에서 흠집 난 포르쉐 VS 그랜저를 비교한 적이 있었는데
그게 얼마나 찰진 비유던데, 서울 임장하면서 동료분들과 그런 얘기들을 굉장히 많이 나눴던 것 같습니다.
그때 부터였던 것 같습니다.
언덕이던, 역에서 멀던, 지하주차장 연결이 안되어 있던 대세에 지장 없다.
(물론 선호도는 있지만)
이건 결국 서울/수도권 자산이다.
라며, 그 단지의 가치를 거기서 끝내지 않고, 보물 단지 1호, 2호로 저장하며
5순위 시세표에 넣었던 것 같습니다.
BM: 약점 있는 단지들 시세트레킹
"시세 지도의 중요성"
저는 임보 작성 할 때 시세 파트가 제일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이 시세지도의 의미를 몰라서 그냥 노가다라 생각하고
막 하나하나 그리는데 너무 힘들고 짜증났는데
어느 순간 이걸 가시화 시킨 게 있으니 엄청 비교 평가하기에 편했습니다.
그리고 그 전제 조건은 임장을 꼼꼼히 잘해야 한다는 것.
튜터님의 설명을 통해 거의 사이버 임장을 한 것처럼 제가 가진 앞마당 역시
이렇게 지역의 선호도나 특징을 잘 이해하면서 가격을 붙이는 게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또 한번 깨달았습니다.
2강을 들으면서 1분도 그냥 놓치지 않으려고 집중했습니다.
이번에도 좋은 강의를 들려주신 유디 튜터님 감사합니다 :)
댓글
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