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4주차 제주바다님 강의후기입니다.

  • 23.12.01


지방 중소도시는 신축이나 준신축 위주로 보기!

입주물량을 매우 긴밀히 분석하며 입주물량이 많은

중소도시는 신축위주로 투자, 입주물량이 적은 중소

도시는 준신축도 고려가능! 연담화가 되어 있는 도시가

내가 투자하려는 도시의 인구를 끌어들이는 지 반대로

전출이 많은 도시인지 상관관계를 잘 살펴보고 입주물량에

따른 리스크규모 확인.


공급물량이 많은 도시에 투자에 확신이 있고 리스크

대비가 충분하다면 투자해도 좋지만, 잘 모르겠으면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음.


G,E지역의 1등은 매매, 전세 모두 바닥회복, 그 다음

급지는 투자기회를 주고 있다.

G,E도시와 연담화 되어 있는 도시를 함께 트래킹하며

수요를 빼앗기는지, 수요를 끌어오는지 구분하여 분석하기!



일자리 증가(특히, 질 좋은 일자리)는 인구증가를 만든다.

G,E 지역은 이런 이유로 중소도시임에도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신축입주는 30,40세대의 수요를 끌어모으고, 영유아의

비중이 높으며 입주 10년차 정도에는 영유아가 10대가

되어 연령비가 달라지게 되는 것임(당연한 사실인데 이렇게

까지 생각을 못 했다. 이런 식으로 인구도 상식을 더하여

분석하면 더욱 통찰력있게 지역분석이 가능할 것 같다)


공급달력 임보에 꼭 넣고 중요도를 항상 염두하기


G지역은 확실한 선호생활권(학군지 명확)이 있는 반면,

E지역은 선호생활권이 신축입주에 따라 바뀌는 지역임을

알아두고, 투자기준을 잡기!


공급, 입주시기 확인하며 내 물건의 전세만기일 꼭 비교!

전세만기 시점보다 2~3달 전에 전세 내놓아야 하는 점을

꼭! 인지하고 실행하기!


3,4급지에 저평가물건 잘 찾아보기!

20평대, 낀평수까지 확인해서 신축위주로 투자기회를 잡을 것!


이 지역에 어떤 호재가 있고,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손품과 발품을 통해 퍼즐을 맞추듯이 이해하며 지역을

알아가면 훨씬 재미있게 앞마당을 제대로 쌓아나갈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투자공부 2년차인 24년도에는 "너가 정말 미쳤구나!" 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23년보다 2배로 몰입하고 꼭 성과내기!





댓글


양이늘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