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느낀점

 

PART1. 저평가 VS 저가치

적절한 가격중 가장 좋은 단지

약점이 있는 단지를 더 집중해서 보자

서울에는 저가치는 없다. 우선 순위만 있을 뿐이다.

꾸준히 시세트레킹, 

서울 여전히 전세가율 높지 않다.

아직은 대세 상승장이 아니다. 

전세가율을 살피고 시장분위기를 촉각을 세우고 기준을 가지고 기회가 왔을때 실행한다.

좋다 나쁘다가 아닌 좋다 덜 좋다.

모든 아파트를 투자대상으로 놓고 내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단지(꾸준한 시세트레킹)

좋은 단지를 찾고 싼(적절한 가격)집을 사고 즐겁게 기다린다.

직장, 학군,교통 이 세가지 중요한 분석 KEY

수도권과 지방 교통에 대한 사람들의 체감이 다르다.

투자에는 항상 리스크가 있다는 것을 알고 무리하지 말고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를 가지자.

 

 

2.나에게 적용할점

강남 1시간 이내, 내 투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좋은 단지를 찾고 시세를 지도 위에 올리고

꾸준한 시세트레킹하고 기회가 왔을때 투자하한다.

질문한 것을 끊임 없이 생각하자

지도위에 가급적 많은 것을 표현하고 올리자!!

임장보고서 작성에 집중하기 보다 임장을 많이 하자.

 

입지분석 - 내가 보고 있는 지역

업무지구에 한번에 갈 수 있는가? 맛닿아 있는 지역으로 빼앗길 수 있는 지도 살펴야 한다.

아파트를 지을 땅이 있는가?

주요생활권을 묶어 나누어 보자

인구특징-수도권은 인구수가 크게 중요치 않다. 지방은 중요하다.

인구가 유입되는지 , 인구가 빠져나가는지

학군-학원가 주변환경까지 파악해라-주변환경(유해시설있다면 학군지 아니다.)까지 파악, 외부 수요를 끌어들이는가 확인.

교통-업무지구로의 접근성 파악,지하철 이동시간 파악하기

환경-주요상권 무엇? 거주환경 좋은가? 비슷한 환경의 주변지역과 가격 비교해라.

공급-공급물량, 전세가격 흐름 파악, 주변 공급물량까지 파악, 입주물량 파악- 파악한 정보의 정확성 체크

 


댓글


쫄딱
25. 03. 19. 07:03

약점을 강점으로 투자자 마인드 장착해 가요 우리~~리사님 끝까지 화이팅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