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D지역과 E지역의 특징과 우선순위를 잘 정리해주신 명쾌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 D지역: 국가 주도 산업단지 기반으로 성장한 도시(49만)
👌 E지역: 국가 기반 산업단지(4차 산업)가 있는 도시(40만)
👌 인구 수: 비슷함
-인구: 두 지역 모두 감소 하지만 구매 수요가 있는 젊은 인구가 많고 세대 수는 증가하고 있다
👌 지역의 특성: 산업단지인 환경적 요인으로 주거지가 직장과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음
👌 소득: 대기업 수에 의미를 두기보다 지역 내 종사자 수가 많고 연봉도 높은 편, 지역 내 거주 하는 인구도 많다
👌 정리
-지역의 특징: D지역: 학군/ E지역: 신규 아파트를 선호
-다른 중소 도시에 비해 인구는 적지만 현재 매매 가격이 싸고 전세가율이 높다
-(D지역: 85% E지역: 81% ) 타 지역보다 전고점이 높아서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두 지역 모두 인근 광역시와 인프라를 공유, 인구 이동도 있지만 이로 인한 영향을 미미한 정도
-주변에 빈 땅이 많아 자체 공급을 유의미하게살펴봐야함
-두 지역 모두 저렴한 가격의 좋은 투자에 좋은 기회이지만 많은 공급이 예정되어 있으니 주의 필요
-인구 감소 시기에도 두 지역 모두 아파트 가격은 상승한 것으로 보아 인구 감소로 인한 투자를 걱정하기 보다는
공급에 의한 리스크 방어와 더 좋은 입지, 저렴한 가격의 물건에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현명
👌 알게 된 것
-중소 도시의 환경 분석 주요 포인트: 신축 택지 느낌과 안전함이 중요하다는 것
-선호 생활권과 편의 시설이 집중된 곳이 다르다
-병원, 쇼핑과 인프라 부족
👌가격과 공급의 관계
-높은 가격, 많은 입주 물량: 위험,
-비싼 가격, 적은 입주 물량: 위험
-낮은 가격, 많은 물량: 리스크 대비
-낮은 가격, 적은 입주 물량: 투자에 좋은 기회
👌적용할점:
-투자 지역을 가기 전에 자료를 다시 살펴보고 복기 한다
-시세트레킹 자료를 바탕으로 앞마당 시세를 잘 정리하는 습관을 길러야겠다
-공급 물량을 확인하는 공급 켈린더를 작성해서 공급이 될 때 전세가와 매매가 변화를 살펴본다
😊처음 접하는 두 도시의 생활권의 특징을 잘 정리해 주시고 사진과 키워드로 보여주셔서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투자시 우선순위도 잘 정리해 주셔서 금방 이라도 달려가 확인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습니다.
두 지역 모두 꼭 임장해서 앞마당을 넓혀야겠습니다.
투자 공부가 짧은 저에게 큰 공부가 된 강의입니다.
투자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나답게살아보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