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점: 9억 → 저점: -27% 하락인 6억 5천 - 전고점 9억 대비 현재 2억 5천 하락된 금액
매매 가격이 적정한가?: 투자금 1억 8천으로 더 좋은 투자를 할 곳이 있는가?
아직 비교평가를 하지 않아봐서 모르겠지만, 전고점 대비 27% 하락하여 너바나님 말씀대로라면 적정가격?
2) 환금성 :
학군: 장안구에서 외고/특목고를 가장 많이 보내는 ‘대평중’으로 배정될 확률이 높은 아파트.
공원, 도서관, 거대 상가 학원지 등이 가까이 있어서 고정 수요가 존재한다고 생각.
하지만 주요 직장이 멀고, 강남역까지 한번에 광역 버스로 이동할 수 있는 것 외에는 교통/직장 면에서는 수요가 없을 수 있음.
이 자산을 돈으로 환금할 수 있는가?
아파트인가? YES
수요가 많은가?.. 어떻게 판단하지?
독점성이 있는가? 학원가가 가까이 있고, 큰 상가가 가까이 있는 아파트들이 이미 주변에 더 싼 곳이 많은 것 같은데...
3) 수익률 : (o)
전고점 9억 대비 -27%인 상태.
근데 27년된 아파트라.. 수익률이 좋을까? 어떻게 판단하지?
4) 원금보존 : (△)
전세가율은 약 72%… 이 동네에서 대평중을 보내려면 여기만 있는 게 아니라, 다른 싼 아파트도 많다. 그래서 굳이 학군 때문에 여기를 선택할 것 같지는 않고, 학원가와 대형 상권이 가까이 있다는 게 장점. 직장과도 멀다. 돈은 없지만 넓은 집에 살고 싶고, 평화롭고 편의시설 많은 곳에 살고 싶은 사람들은 여기를 살 것 같지만, 매매로 살 것 같지는 않다. 판단이 잘 되지 않는다.
5) 리스크 대비: 매매가와 전세가 간의 차이를 모니터링 할 것. 하락 시 발생할 수 있는 차액을 대비.
나의 투자 결론 :
✅ 작성하면서 느낀점 :
우리동네 랜드마크 동네를 조사하라고 했지만, 나는 우리 가족이 살고 계신 아파트를 분석했다.
월부 강의를 같이 들으면서, 현재 집을 전세 주고 다른 곳으로 가서 투자 관점으로 살아갈지 고민이었다.
생각보다 주요 직장 도시들과 거리가 있었고, 아이 키우기 좋은 지역인 것 뿐이었다. 경기도 광주보다는 강남 접근성이 좋지만, 그것도 광역 버스로 이동하는 거라 허들이 있다. 신혼부부 직장인, 혹은 초등학교 아이가 있는 가정은 영통에 못 사면 전세로 계속 수요가 있을 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