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투자금 기준 5000만원이라면서요? [리즤]

  • 23.09.01






안녕하세요.

리즤입니다.



지금같은 시장에서

가격은 싼데, 전세가가 내려가 있는 곳들이 많아

막상 투자를 하려고 할 때

투자금의 기준에 대해 혼란스러워 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아요.


가상의 인물 월부학교 A씨를 통해

적정 투자금의 기준은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 나오는 가격은 예시일뿐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첫번째 물건:
광역시 구축 30평대 3.5억/3.0억



A씨는 광역시의 구축아파트를 투자물건으로 찾았습니다.



광역시 구축 30평대

매매 3.5억

전세 3.0억

(매전차 0.5억)


전세가율도 딱 85% !!



투자기준에 들어오는 물건을 발견하고,

들뜬 마음으로 튜터님께 매물문의를 드립니다.



튜터님: 가격이 싸지만,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것 같아요.


A씨: ?????? (투자기준 5천만원이라면서요?)




A씨는 뭔가 이상한 것 같지만..

투자금을 줄이기에 실패한 이 물건을 뒤로하고

다음 물건을 찾습니다.







두 번째 물건:
중소도시 신축 30평대 3.2억/2.7억



구축이라 수리비 때문에 안되는걸까??


고민이 들었던 A씨는

이번엔 신축물건을 찾게 됩니다.



중소도시 신축 30평대

매매 3.2억

전세 2.7억

(매전차 0.5억)



신축이니 이번엔 수리할것도 없겠다!!!



새아파트를 보고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튜터님께 매물문의를 드립니다.




튜터님: 가격이 싸지만,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것 같아요.


A씨: ?????? (투자기준 5천만원이라면서요?)







세 번째 물건:
중소도시 신축 20평대 2.1억/1.8억



A씨는 투자금이 많이 들어간다는 30평대를 뒤로하고,

20평대 물건을 찾게됩니다.



중소도시 신축 20평대

매매 2.1억

전세 1.8억

(매전차 0.3억)



A씨는 또 튜터님께 매물문의를 드립니다.




튜터님: 가격이 싸지만,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어가는 것 같아요.


A씨: ?????

?????

?????

??????

???????????




(사실 매물문의 시 튜터님께서는 정말 자세한 피드백을 주십니다..♡)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어가네요'

의 숨은 의미




'투자금이 너무 많이 들어가네요' 에는 아래와 같은 의미가 숨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투자금으로 더 좋은 지역, 더 좋은 단지에 투자할 수 있는데, 거기를 하기는 아깝네요."


"비슷한 단지에 더 적은 투자금으로도 투자가능한 곳이 있는데, 거기를 하기는 아깝네요."


"ㅇㅇ님의 상황에서 그 투자금은 너무 많네요."










투자금의 진실



사실 투자금 ㅇㅇ만원

이렇게 정해진건 없습니다.



내가 감당가능한 금액 한도에서

나만의 투자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A도시의 a단지도 ㅇㅇ만원으로 투자가 가능하니깐,


나는 B도시의 b단지라면 가능한 ㅇㅇ만원이하의 투자금으로 투자할거야.




처음이라 어렵다면,

또는 앞마당이 적어 잘 모르겠다면,



거인의 어깨를 빌려

튜터님들의 생각과 내 생각을 비교해가며

기준을 하나하나 만들어가야 합니다.






또한

누구는 연간 3천만원,

누구는 5천만원의 돈을 저축할 수 있듯이


개인의 재무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상황에 맞게

투자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시:


나는 모아둔 돈이 많지 않고


1년간 모을 수 있는 금액이 4천만원이니


이 금액 안에서 투자할거야.





'나는 부동산과 맞벌이한다' 책에서,

그리고 열반스쿨 강의에서,


아래와 같은 도표를 볼 수 있습니다.


바로 투자 시스템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인데요.



1년간 저축가능한 금액 내에서

투자를 이어갈 경우,


1년에 한채씩 투자하여,

시스템을 만드는게 가능합니다.



(지금과 같은 특별한 시장에서 역전세를 맞기도 하지만요..ㅠ)



이렇게

내가 지속가능한 투자를 할 수 있는 금액내에서

나만의 투자기준을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더욱 중요한 것은




다만 투자금에만 매몰되다보면

중요한 것을 놓칠 수 있습니다.



1. 저평가된 물건을 사는 것

2. 내가 감당가능한 금액(절대가)의 물건을 사는 것



아래 캐모마일 튜터님, 제주바다 멘토님의 칼럼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https://cafe.naver.com/wecando7/7554287

[캐모마일] 투자의 첫 단추를 끼울 때 기억해야 할 3가지



https://cafe.naver.com/wecando7/7934794

[제주바다] 투자금 보다 반드시 이걸 먼저 봐야 합니다.




정리


1. 케이스별(지역별,단지별) 투자기준을 만든다.


2. 내 재무상황을 고려하여 투자기준을 만든다.


3. 그럼에도 잊지 말아야 할건

저평가되었는지 & 감당가능한지 여부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을 나눠주신 이웃분에게 덧글은 큰 힘이 됩니다.

서로 감사함을 표하는 월부인 화이팅!!










댓글


뿌라운
23. 09. 01. 03:00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룸121creator badge
23. 09. 01. 06:48

틀에 갇히지 않기! 좋은 글 감사합니다:)♡

수수안
23. 09. 01. 11:00

굿 글입니다. 팔로잉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