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의 기준
Q&A 질문에 대한
자모님의 대답을 들어보니
내 집 마련은
내가 감당가능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예산에서
해야 됨을 느꼈습니다.
실거주 목적은, 내가 들어가 살 수 있어야 하고 그 집에서 만족스러워야 한다!
비슷한 가격이라면 더 좋은 입지를 지닌 지역에 마련할 수 있도록
많이 찾아보고 비교해봐야 한다는걸 또 한번 느꼈습니다.
주상복합 vs 아파트
요새 지방도 그렇고 주상복합 아파트가 많아지면서,
주상복합과 아파트 중에 어떤게 나을지 궁금했었는데
명쾌하게 대답해 주셔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주상복합은 베란다가 없고 용적률이 높으며
상업지구 안에 있어서 주변이 상권이며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많아서
수요측면에서는 아파트에 밀릴 수 있다. (거래량이 다르다.)
주방복합 옵션들이 어떤 브랜드인가에 따라 자재가 달라지고,
주상복합 연식이 낡아지면 인테리어를 하거나 구조를 바꾸기가 어려워지므로
연식이 낡아지면 주상복합을 매도하고 나와야 한다.
구축에 대한 기준
서울에는 워낙, 구축 아파트가 많고
구축을 매수한 지인들이
누수때문에 고생하는 경우를 많이 봐서
정말 구축을 사도 될까.. 궁금했었습니다.
사고의 관점을
구축 괜찮을까요? 가 아니라
구축 중에 어떤 아파트를 고를까요? 질문을 바꿔서 생각해 보라는 말이
신선했고,
어떤 관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가치도 달라질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구축을 매수했는데 리모델링 호재가 있다면 좋은것이고,
만약 분담금이 안될것 같으면 호재가 있을 때 팔고 나오면 된다.
구축이라도 전세가 오른다는 건 실거주자 수요가 있다는 것이며
10년동안 매매전세가 오른다면 가치가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경기 외곽 도시에 대한 기준
와.. 오프닝 강의에서 이제까지 내가 궁금했던 것들이
많이 나와서 너무 신기했어요!
중랑구에 살면서
다산 신도시가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어서
살기가 좋아보여서 매번 눈여겨 보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가격대가 높아서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어요,
내가 좋다고 생각한 만큼 강의에서 다산 신도시에 대한 언급이 별로 없어서
여기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기도 했었는데요,
서울에 있는 아파트와 가격을 비교해서
비슷한 예산이라면
서울에 내집마련을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는지 최대한 찾아보고
추후에 내가 어떻게 자산을 불려나갈 수 있는지 방향성을 생각하고
내집마련을 해야 한다고 알려주셨어요!
신축이 처음에는 건물의 가치가 높다가도
신축도 낡으면 건물의 가치는 떨어지고
땅의 가치만 남음으로..
역시 입지가 중요하구나 다시금 느꼈습니다.
“급매든 가격조정이든 할 수 있는 것을 다 해보시고 매수하세요”
내집마련이든 투자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것들을 모두 다 해보고
매수를 해야 미련이 남지 않을것 같습니다.
오프닝 강의를 들으니 내집마련 강의도 너무 기대가 됩니다.
댓글
House컬렉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