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첫 내집마련, 기초부터 탄탄하게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Start
>Introduction
다른 듯 비슷한 평범함 이웃들 도우기 위한 방안 >> 절대 급하지 않으니 조급할 필요 NO
- 내집마련 적기를 모르니 기본지식 및 상황인식 하여 언제 사야 하는지 정확히 인지
- 내집마련 의미를 모르니 청약당첨의 의미가 어떠한 의미인지를 인지 :
내집마련 게획 >> 상황별 목표 설정(투자,징검다리,최종목표) >> 내집마련 후에도 꾸준히 시도
- 어떤 걸 사야 하는지 타켓 특정 : 재산으로 가치 있는 거를 사기 위해 필요한 역량 Learn
- 과정,기술,실행
- 반복 : 포기하지 않고 될때까지 Try
과거 40년동안 아파트 매매지수, 즉 부동산은 우상향했다는 것은 Fact
- 단기적으로 등락은 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
필수재 : 연필, 옷 등 생필품 / 투자재 : 필요하지는 않지만 내가 싼 거보다는 비싸게 팔기 위한 목적
- 물가상승을 그대로 반영한 선형 우상향인 필수재와 투기심리로 등락한 투자재 성격 두가지의 교차점은 집
물가대비 집값 쌀때는 PIR + 전세가율 보면서 Search
- PIR : 50000/5000=10 > 한 푼 안 쓰고 10년 모으면 살 수 있다는 의미로 이 값이 커지면 소득대비 집값이 상승
- 전세가율 : 전세가/매매가 > 전세가율이 높을때가 매매로 전환 시기이며 집을 사기 적기(버플이 적다), 강남은 워낙 수요가 높다보니 버플 자체가 큰 도시(떨어지기가 Not Easy)
PIR 평균적으로 12.2 이하면 Cheap / 초과이면 Expensive
- 2014.1~2018.6 > PIR 10.1로 평균 이하 / 전세가율 69.7로 높았던 시기로 최적의 매수시기
- 코로나 이후 급여 및 소득이 오르다보니 상대적으로 집값이 하락한 현재는 PIR이 12이하이면 평균적으로 싼 가격으로 현재는 10.8 / 전세가율은 60이상이면 좋은 시기로 현재는 53.8로 비싸지 않은 상황으로 적기시기
현재 금액이 전고점을 넘지 못한 단지 > 현재가격(-20% 정도면 매우 좋은 가격)으로 최대한 싸게 매수
EX) 10억(21.9~22.3)일 때 11억이면 능력된다는 전제하에 비싸지 않게, 10억이면 협상해서 최대한 싸게, 9억이면 그냥 GO (다만 이거를 버틸 수 있다는 능력하에)
>Conclusion
>Impressive
댓글
Soy24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