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기 15기 3천리 다 4조 매일가자입니다.
이번 4주 차 강의는 중소도시 F, G 지역에 대한 입지와 투자분석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이미 실준반에서 지역분석을
어떻게 임장보고서에 담아내는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했던 제주바다님
지금도 바탕화면 바로가기로 되어 있는 교재인만큼
이번 강의에 대한 기대도 컸고
기대만큼 충분히 배워가는 시간이었습니다.
키워드
1. 지역 핵심 파악(수요,선호도,리스크)
2. 지역별 투자 우선순위
1. 지역 핵심 파악(수요, 선호도, 리스크)
이제까지 수업과 동어 반복이기도 하지만
지역별로 핵심이 다르다.
광역시, 중소도시별로 정량적 요소도 있지만
그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수요, 선호도, 리스크는
현장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ㅇㅇ이 뚜렷한 도시인가?
(늘 하던대로 ㅇㅇ이 어디이지만 찾았다. 뚜렷한지 희미한지
구분하지 않고 억지로라도 선을 그어보려는 최선의 노력)
인접지역이 ㅇㅇ을 더하는 곳인가?
빼앗는 곳인가?
(늘 하던대로 이동량만 파악하고 해당지역 공급리스크만 주목했었는데)
지역별로 다른 특징이 있음에도
빠르게 지역분석을 끝내고 싶은 욕심에
중요한 포인트를 놓칠 수 있겠다는 깨달음의
시간이었습니다.
2. 지역별 투자 우선순위
투자 우선순위의 기준을
광역시, 중소도시별로 제시해주었습니다.
생활권과 연식에 따른 구분선을
그어주니
지방을 앞마당으로 만들어 나가면서
지침이 될 것 같습니다.
결국 성공한 투자란
가치 있는 물건을 사서
가치에 맞는 가격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라고 합니다.
지방 시장에서 가치의 마지노선을
이해하고
가치에 맞는 가격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바다님처럼 누가 '너 미쳤구나!'라는
말을 들을 자신은 없지만
그래도 월부안에서
자극과 동기부여를 받으며
즐거운 투자자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는 저와 월부인들을 응원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적용할 것
1. 앞마당인 F지역 시세트레킹해서 투자가능 단지 찾아보기
댓글
매일가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