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 서울 사람인 저에게는 시작도 하기 전 지방이 어렵게만 느껴졌는데 유디 튜터님의 강의를 듣고 난 후에는 지방 투자 기준이 조금은 잡힌 것 같아 안도가 됩니다. 지방 투자의 기초를 알려 주셨고 서울, 수도권과는 다르다는 걸 대충은 알고 있었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어떻게 다른지 명확히 알게 되었습니다.

 

학군

지방은 일부 군에 한하여 땅의 가치가 있다. = 압도적 학군지

(학군의 의미가 크지 않은 지역에서의 구축 투자는 위험하다.)

특정 학교를 보낼 수 있는 단지

 

환경

직장, 환경, 학군이 압도적이진 않지만 종합적으로 좋은 단지

전통적인 부촌(동네를 대표하는 대장 단지)

연식, 브랜드(1군 건설사, 지역 내 선호하는 건설사 브랜드 선호도가 높음), 택지 규모

 

지방투자 선호도

입지: 학군, 환경(커뮤니티) >>>>> 직장, 교통(후순위)

상품성: 연식, 브랜드, 택지

= 가장 선호도가 높은 단지

 

지방투자 입지 우선순위

학군, 환경(커뮤니티) > 직장, 교통

학군이나 환경을 이유로 거주지를 선택하는 경우 그들만의 커뮤니티가 형성됨

 

  1. 지방은 압도적 학군지가 아닌 이상 땅의 가치가 크지 않다.
  2. 연식과 환경(커뮤니티), 브랜드가 단지의 가격을 좌우한다.
  3. 서울, 수도권을 보는 관점과 반대로 연식과 환경적 요소, 사람을 최우선으로 봐야 한다.
  4. 지방은 공급물량이 전세가격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적용할 점.

분임 할 때 환경과 사람을 보면서 생활권을 나눠봐야겠다.


댓글


ISFJ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