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또 급락…💥
하루에 1,400조가 증발한 날, 우리는 뭘 봐야 할까요?
테슬라 들고 있는 분들,
어제 주식 앱 열자마자 깜짝 놀라셨을 것 같은데요
“좀 오르더니, 또… 이게 무슨 일이야…?"
📉 시간외 거래 기준 -7.3%
하룻밤 사이 두 번이나 빠진거예요.
게다가 이거… 테슬라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지금 시장은 '개별 종목의 이슈'가 아니라
'글로벌 자금 흐름'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사실!
미국 7대 빅테크 (M7) 시총 증발 현황:
종목 | 하락률 |
애플 | -9.25% |
아마존 | -8.98% |
메타 | -8.96% |
엔비디아 | -7.81% |
테슬라 | -10.42% |
알파벳 | -4.02% |
마이크로소프트 | -2.36% |
단 하루 만에 시가총액 1조 338억 달러 (약 1,501조 원)이 사라진거죠.
2020년 코로나 팬데믹 폭락 이후
가장 큰 낙폭이자 가장 큰 패닉 셀이라고…
1️⃣ 트럼프의 ‘상호관세 폭탄’
투자자들은 “물가 상승 + 글로벌 침체”를 동시에 걱정하며,
리스크 자산부터 던지기 시작했어요.
2️⃣ 테슬라에겐 더 치명적이었던 이유
테슬라는 유독 더 크게 빠졌습니다. 왜일까요?
이 타이밍에 관세가 터지자, 투자자들은 “회복 불가” 시나리오에 베팅하기 시작한 거죠.
3️⃣ 머스크 복귀? 낙관은 일시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장 마감 직후 관세 뉴스가 터지자 그 반등도 무용지물이 되었습니다ㅎ
지금 SNS와 커뮤니티에는 “머스크도 놀랄 조선인들의 사랑”
같은 말들이 떠돌고 있어요.
실제로 한국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주식 1위는 단연 ‘테슬라’입니다.
2위와도 두 배 이상 차이가 나요.
그래서 더 궁금해질 수밖에 없죠.
“지금이라도 손절해야 하나요?”
“반등할까, 아니면 더 빠질까?”
“오히려 지금이 기회일 수도 있을까?”
이럴 땐 시장이 아닌, 나의 투자 원칙과 리스크 허용 한계를 먼저 들여다봐야 합니다.
1. 이 하락은 구조적인가, 일시적인가?
☑️ 테슬라는 현재 ‘단순 공포’보다 실적+수요 우려가 결합된 복합 하락입니다.
→ 판단이 필요합니다.
2. 내가 이 종목을 왜 들고 있었는가?
☑️만약 “머스크의 혁신성”, “전기차 시장 지배력” 등 장기 성장성 베팅이었다면
→ 일시적 하락을 견디는 것도 전략입니다.
3. 내 포트폴리오에서 어떤 비중을 차지하는가?
☑️ 이 기회에 비중 조절하거나,
다른 업종으로 일부 리밸런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테슬라를 포함한 기술주가 왜 이렇게 급락했는지,
그리고 이럴 땐 어떤 기준으로 대응하면 좋을지 함께 살펴봤습니다!
혼란스러운 시장 속에서도
내 자산을 지키는 힘은 ‘냉정한 기준’에서 시작된다는 점,잊지 마세요!
그럼 다음 돈잇슈에서는
또 다른 의미 있는 경제 이슈와 함께 돌아올게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
함께 보면 좋은 글: "너무 빠듯해요" 지갑 닫는 중산층...벌어도 남는 게 없다면 '이 지출'부터 점검하세요
댓글
오.. 테슬라.. 이런.. 어떻게 위기를 돌파할지 궁금합니다.
테슬라 2~3년전에도 급락했던 적이 있었던 것 같은데… 이번에도 잘 풀리길 기원합니다!!
아고 유독 더빠진 이유가 이런거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