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황

  • 지금 집 사도 돼??

집은 필수재이면서 투자재!!

새우깡 가격이 오르듯,, 주식이 하락과 상승이 있듯,,

집은 하락과 상승을 하면서 결국은 오른다.!

 

집을 사는 시기에 고려할 사항, PIR(소득대비주택의 가격)과 전세가율(주택가격에 대한 전세가),!!

2008년 이후 평균 PIR 12.2 , 전세가율 57%,, 여기서 PIR 12이하, 전세가율 60% 이상이면 저렴하게 집을 살 수 있는 시기.

현재 PIR 정점찍고 급감(10.8), 전세가율 바닥찍고 반등(53.8%) 즉, 집값은 비싸지 않은 상황,

 

전고점 돌파한 경우 이전 실거래가 대비 낮은 가격으로 산다.

전고점 돌파하지 않은 경우 현재가가 -20%이면, 바로 산다.

 

잘 고른 집을 가급적 싸게 사서, 장기간 거주한다면 잃지 않는다. PIR과 전세가율을 보고 기준을 잡는다.

 

 

 

  • 인구가 줄어 드는대??

50년 후 인구의 27% 감소, 그러면,, 사람들이 선호는 아파트가 답이다. 서울은 입지가 중요, 사람들이 싫어하지 않는 아파트면 OK! 지방은 사람이 좋아하는 신축 아파트!

 

 

 

  • 시장의 원인3가지와 결과 1가지!!

금리( 금리와 집값은 반비례 성립, 지금은 인하기 돌입)

공급( 신축아파트 공급에 의해 전세가 영향, 그 후 매매가 영향, 지금은 신축아파트 공급이 줄어들고 있다. 전세가는 오르고, 매매가도 오른다.)

기타(완화와 규제 정책이 예측할 수 없게 변동이 있지만, 현재 규제로 강남, 강북 심리 위축,, 그로 인해 경기도 뒤따를 것, 비싸지 않게 매매할 기회가 온다.)

 

 

 

  • 현재!!

서울 하락, 반등 반복 - 상승장 준비

지방 전세 하락 종료 - 전세가 오른다.

 

서울,경기 최상급지(싸지 않게), 나머지(비싸지 않게)

지방 최상급지(비싸지 않게, 장기보유), 나머지(싸다, 이사고려)

 

 

 

2. 목표

  • 상황에 맞는 로드맵

최종목표!! 서울 평균 이상 아파트 또는 지방 대장급 아파트

현재 수준에 따라, 징검다리 역할의 아파트 매매,!! 후 최종 목표 도달!!

 

서울,경기 입지 / 지방 신축

 

소득과 지출, 저축에 따른 대출액 예상 후 후보 선택,!(월 저축의 60%이상을 원리금 상환시 사용하지 말자, 영끌 NO!!)

 

4. 내가 해야 할 일 

 

대학교1학년부터 과외, 학원 알바를 하면서 돈을 벌었다. 학교에 근무하며서도,, 학원을 운영하면서도,, 1년 365일 쉬는 날 없이 일했다.

작년 수업중에 쓰러지기 전까지, 내 몸은 돌보지 못하고 앞만 보면서 뛰었다. 

내 나이 42살,, 지금 나에게 남은 건,,?

 

부모님의 3번의 사업 실패, 아빠의 방황,,

어린 동생들,,

엄마와 난 살아야 했었다. 후회는 없다.

 

그렇게 열심히 살았으니 지금, 우리 가족이 있는 거니깐.!!

 

지금까지 벌어 놓은 돈이 내 손에 없더라도, 난 지금부터 다시 시작하면 된다.

당장은 종잣돈이 없지만,, 이제 알았으니 괜찮다~. 방향을 잡았으니, 이제 다시 올바르고 건강하게, 시작하면 된다. 

 

힘내자, 진희야^^


댓글


knock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