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기초반 27기 39조 좌나위] 1주차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 되는 지방 1등 아파트 찾는 법

지방은 빈 땅이 많기 때문에 땅의 힘이 수도권에 비해 크지 않다.

또한 교통의 중요성도 크지 않다(자차로 중심지까지 이동가능 하기 때문)

따라서 일자리규모와 소득이 일치하지 않는다(광주 북구의 일자리가 가장 많지만 가장 못삼)

그러나 대구 수성구의 범어동 등 압도적 학군이 있는 곳은 땅의 가치가 있다(구축도 선호)

전주 같이 학군이 평범한 곳은 땅의 가치가 낮다.

 

광주는 다른 광역시와는 달리 인구이동이 주변지역으로부터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각 구마다 우선으로 봐야할 지역

광산구 : 수완지구. 신창지구. 하남지구

북구 : 첨단2지구. 운암지구. 용봉지구.

서구 : 상무지구 

동구 : 계림지구

남구  

봉선지구 : 광주의 강남  

용산지구 : 새아파트로 봉선의 낡은 아파트 대체

진월지구 : 봉선에 거주하고 싶지만 비싸서 진월로

효천지구 : 외곽이지만 신축아파트로 광주 사람들은 좋아한다.

구축 투자는 정말 잘봐야한다.(길 하나로 갈림)

 

광주를 볼 때는 수도권과 차이를 확실히 두고 봐야겠다.

수도권과 달리 논리적으로 설명이 안되더라도 믿고 투자해야할 부분이 있다.

왜 여기보다 저기가 더 좋아보이는데 가격은 저기가 더 싸지?

수도권 투자라면 가격이 왜곡되어 키맞추기 또는 제자리를 찾아 가겠지만 광주는 아니었다.

입지좋은 신축은 당연히 1순위로 봐야하고

입지 안좋은 신축을 입지가 좋은 구축보다 우선해서 봐야한다.

상승장때 가격 상승폭이 훨씬 더 컸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람을 중요하게 봐야한다.


댓글


좌나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