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닝 강의에서 느낌점
임장 보고서 잘하고 싶지만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면 임장 루트를 만들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는데 지역 선호도를 파악하고 랜드마크 단지 차는 방법과 법정동 핵심입지요소를 찾는 방법까지 알려 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역에 따라 “저환수원리” 보는 가운데 무조건 강남과의 거리만이 우선이 아니라 지역 특성에 따라 다른 부분이 우선되어지는 것도 있음을 실 예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 실제 이사까지 올 수 있는지? 파악해 보는 것이 중요하는 이야기도 공감이 갔습니다.
앞마당을 만드는데 한 달 정도 걸린다고 하셨는데 이번 달 동안 조원들과 함께 앞마당 하나는 완성하는 4월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을 해 봅니다.
실전 준비반에서 실제로 적용해 보고 싶은 점
시작은 도움을 받겠지만 마무리는 혼자서 임장루트를 작성하고 임장하고 임장 보고서 작성하고 추후 시세트레킹까지 해 보고 싶습니다.
내가 공부하고 싶은 지역- 마포구
서울특별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서쪽은 경기도 고양시, 남쪽은 한강을 맞대고 강서구와 영등포구, 동쪽으로는 용산구와 중구, 북쪽으로는 은평구, 서대문구와 접한다.
구의 명칭은 예로부터 유명한 나루터이자 포구였던 마포에서 따왔다. 예로부터 한강의 나루터 역할을 했지만(마포, 서강진, 양화진 등), 수운이 쇠퇴하면서 20세기 초반부터 항구 기능을 잃었다.
마포구 동부(공덕, 아현, 용강, 도화 등)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시가지화되었으며, 마포구 중·서부 지역은 해방 이후 점차 개발되어 아파트 및 다세대 주택들이 들어섰다. 구의 동서로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쪽 남북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지나며, 동쪽 남북으로는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지난다.
참고로 '마포'라 하면 마포구 전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넓은 의미의 마포), 일반적으로는 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등 공덕오거리를 중심으로 마포대교와 마포대로, 수도권 전철 5호선이 지나가는 지역만을 주로 의미한다.(좁은 의미의 마포) 법정동 마포동도 이 곳에 있으며, 행정동 도화동 관할 하에 있다. 현재의 마포구 행정구역은 원래부터 마포라 불린 지역에서 1960~70년대에 서대문구 관할이었던 노고산동, 연남동, 성산동, 상암동 일대를 편입하면서 서쪽, 북쪽으로 상당히 멀리까지 뻗어나간 것.
댓글
임장루트 꼭 이번에 같이 만들어 보아요. 화이팅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