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근로주의에서 벗어나
자본주의로 은퇴할
앵자입니다!
1월 지투가 끝나고 벌써 4월이네요 호미? 벚꽃이 피기 전에 1호기를 하겠다며 2월과 3월..나홀로 지방을 어찌저찌 돌아다녔는데 꽃은 만개 하고 있으나 아직 무주택자 엔딩입니다. 🌸🌸
동료들 1호기 소식 진짜 계속 들려오는데 나만 남았는데!!!!!!!!! 왜 나는 잘 안될까~? (실력부족 : 메타인지) 답답하던 차에 운좋게 지투를 통해 빛과 같은 잔쟈니튜터님의 1강을 들을 수 있게 되었네요!
우리와 같은 수강생이었다는 말이 너무 거짓말 같은 강의력.. 강의 처음듣는 사람처럼 BM이다 BM거리며 열심히 필기하고 재미있게 수강했습니다. 튜터님의 의사결정과정을 잘 따라오라는 듯한 세세하고 친절한 강의 감사합니당! 최고예요……🩷
와닿았던 점
1. 생활편리성
단지임장하면서 장단비궁은 배웠는데 왜인지 이 부분을 거주(생활)하기 편리한 단지인가까지 연결짓지 못했다. 누구나 좋아할 단지는 정말 할 말이 많았는데 떨어지는 단지는 주변이 별로다. 컨디션이 너무 안좋다 그래서 하. 투자는X 로 귀결되어 버리는 단순함.. 단지가 구축이라는 것에만 집중한 듯. 강의 예시로 나왔던 단지도 싼 건 알겠는데 이걸 해도 되는게 맞는지 항상 고민이었는데 일단 생활하기는 어떤 단지인가. 구축이지만 선호되는가 등 선호도의 관점에서 더 생각했어야 했다. 지방은 연식 물론 중요하지만 가치라는 것이 건물의 가치만이 아님을 생각할 것
2. 외곽생활권
중소도시를 임장하면서 외곽에 신축이 몰려 있는 생활권이 연식좋은데 싸서 그렇게 눈에 들어 왔다. 다른 동료들도 마찬가지라 질문답변시간에 여기도 투자해도 될까요에 대한 질문을 하면 가능하지만 지금의 우선순위는 아니다 라는 말을 많이 들었고 학습하듯 적용했었는데 이 생활권을 선택하면서 내가 져버리는 것을 생각해야 하고 이 생활권을 선택한다면 어떤 대상을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하는지 조금 더 디테일하게 설명주셔서 좋았당! 내 돈으로는 여기가 최선일때 어떤 시기면 그럼에도 외곽생활권을 선택할 수 있는지도 알 수 있게 되었음. 사실 다른 분들도 이렇게 설명주셨을텐데… 듣는 메세지에만 집중하는 게 아닌 무자르듯 생각하지 말고 시장상황을 고려하기!
혼잣말이 교안에 들어가있네
3. 가격결정요소
이번에 자실하면서 아~ 진짜 모르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시세지도로 선호요소를 가격과 연결짓는 부분에 대해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당. 여러번의 실전을 통해 남들의 임보를 봐왔긴 했는데 감탄만했지 배운게 없었던듯 나의 시세지도는 초보자 수준🩷 잔쟈니 튜터님의 예시로 아 이렇게 생각해서 이런 결론까지 올 수 있는 거구나를 알게돼서 좋았음. 만날 TOP놓고 선호요소찾기 나도 하긴 했는데 부족했던 부분을 채울 수 있을 거 같당~~ 따라해야징 ~~~
4. 의사결정3단계
결론까지 다 내놓고 그래서 이 돈으로 제일 가치있는 것인가? 를 생각한다는 것은 저평가 판단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이다. 앞마당 단지 중 가치가 있고 싼 것을 골라냈다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일은 없었다는 것~~ 해당 월에 임장지에서 top3를 뽑고 그런 뒤 앞마당에서 top3 뽑아 결론을 낸다. 짧은 표현이지만 결국 이게 이런 의미구나! 지금까지 이해했다고 생각했지만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던 나.
적용할 점
1. 최고가 순위로 선호요소를 파악할 때 단순히 데이터 해석이 아니라 그래서 사람들은 ㅇㅇ요소를 가장 좋아한다. 투자로 본다면 1순위로는 ㅇㅇ요소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생활권에선 이런 수요도 있다 하지만 이 수요가 ~~를 넘을 정도는 아니다 등등
1. 단지임장시 단지 컨디션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거주하는 측면에서 더 생각해보기! 도시 규모에 따라 선호되는 생활 환경이 다를 수 있음을 생각하고 단점만 부각해서 보는게 아니라 장점이 많은지 단점이 더 많은지를 고려해보기.
1. 그래프위에 공급을 시기 맞춰 얹어보며 확인해보기. 공급 영향 받았는지 아닌지 더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겠당~~
댓글
앵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