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강의 후기 _ 권유디 강사님
현재 지방은 전체가 바닥이라 제일 좋은 것을 고르는게 좋다
_ 21~22년에 비해 대부분 하락해 있다!
광주는 연식이 굉장히 중요하다
_ 광주는 아파트비율이 높고 신축,준신축이 굉장히 많아서 연식이 중요할듯!
인구수에 따라 지역마다 투자범위를 다르게 설정해야 함, 인구수가 작을 수록 되도록 신축/ 중심부 투자
_인구가 작으면 수요가 적으니 사람들이 고르는 아파트의 범위가 정해져있을 것이다
좋을 것을 사야할 듯 하다
★지방투자는 상품성이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줌
_ 신축은 항상 지어지고 , 입지/교통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기에!
★ 지역 내 선호하는 생활권, 단지를 아는 것에 집중
(일자리가 적다고 해서 그 지역 모든단지가 좋지않은 것은 아니다)
_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사야한다, 안좋은입지에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가 있다
★지방의 학군지는 이 단지가 어떤 중학교를 보내는 지 반드시 확인하자
학군지의 중요도가 크므로 중학교를 확인해보자 (택지정보시스템 _ 여기는 몰랐는데 이번기회에 보자)
광주는 광역시 중 아파트 비중이 제일 높다
-> ★투자범위를 좁히고, 투자하지 않는 곳을 골라내야한다
★지방 _ 사람 / 환경 / 연식 중요하다
일자리규모와 소득수준은 상관관계가 없다
★직주근접의미가없다, 환경과 학군을 봐야한다
직주근접보다 다른요인으로 부촌이 형성
★커뮤니티(사람) 그리고 로케이션(위치)
연식,투자금 똑같으면 무조건 센터 (시청)
광주는 타 지역 대비 매우 강한 신축 선호
★구축 투자 시 입지와 선호도를 매우 까다롭게 확인
★연식을 우선하여 신축 위주로 접근하되
구축 투자할 경우 매우 까다롭게 선호도를 따져야 함
_광주는 연식 >>> 입지
★광주의 평범한 입지 선호도 떨어지는 구축 = 서울의 빌라
★광주 투자 핵심은 사지 않아야 하는 걸 사지 않는 것
댓글
임보 화이팅~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