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1강 요약
챕터1)
100억 이하의 자산가는 무조건 대출을 해서, 레버리지를 이용해야한다.
대출금리가 같은 10%지만, 1억은 1.1억이 되고, 10억이 11억이 되므로 투자 금액이 크면 클수록 투자금액의 비율만큼 더 이익이 커진다.
그러나 대출이자금을 내고도 수익이 남지 않으면 투자를 해서는 안됨 (잃지 않는 투자가 중요함)
-> 따라서, 투자할 가치가 있는 물건(부동산)을 잘 알아봐야함.
-> 잘 알아보려면? 투자공부를 해야하고, 이번 열반스쿨 강의를 통해서 그런 안목을 키울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해야겠다.
-> 이것이 열기 강의의 목표인 올바른 재테크 지식 전달과 부합되는 점.
*Not A but B
: A로 살아왔던 과거의 나의 방식이 아니라 B로 살아가야함.
'부자 마인드'를 가져야하고, 부자마인드로 생각이 바뀌면 그에 따라 행동하고, 그 행동과 함께 습관이 바뀌고, 그 습관과 함께 버티고 인내하여, 궁극적으로 인생과 운명이 바뀌게 됨.
그렇다면, 궁극적으로 이런 마인드와 행동을 갖춰 해야하는 것이 노후 준비임 (근로소득으로 저축해서 모아서는 노후준비가 충분하지 않음)
챕터2)
*자본주의를 (부자로) 살아가기 위해, 근로소득이 아닌 재산소득을 늘려아 함.
: 소득이 크면 클수록 소득이 차지하는 %가 크다.
부자가 되고싶다면 부자들의 자산 축적방법을 봐야하는데, 그들은 1위 사업체 운영 2위 부동산 투자로 부를 축적했다. 부자가구의 경우 재산소득이 35.5%이고, 부자가구가 아닌 경우는 근로소득 비율이 크다. 재산소득이 없다면, 자본주의가 아닌 근로주의에 살고 있다고 봐야함.
*월급쟁이 노후준비 해법 중의 중요한 개념은 복리가 주는 마법을 잘 이용해야 한다는 것.
60세 은퇴시에 내가 일을 하지 않아도 부동산이 일해서 돈을 버는 구조(시스템)을 만들 것.
*파이어한 투자자들의 전략
분명한 목표/실행 + 흑자구조 +저가매입+ 장기보유+ 시스템 (다량보유)
챕터3)
목적지(목표) 설정 (OKR)해야하고,
경로 설정->100일 습관계획 (전술, 프로세스)->Connect the dot (실행, 복기)
이룰 때까지 버틴다 (환경, 성장)
목표는 우리가 길을 가는 데 나침반이 되어준다.
ex. 비전보드나 마인드맵 그려볼 것.
내집마련보다 캐쉬카우를 먼저 만들어야함 (매년 만들어서 시스템을 만들 것)
부자로 가는 과정에서 반드시 할일
-건강관리
-인간관계
-투자공부 (독서, 임장, 강의 , 실전 투자)
-시간관리 (ex. 시간가계부 쓰기)
경제적 자유로 가는 과정 (돈관리)- 초기50%이상 강제저축, 항목별로 계좌를 구분할 것. 체크카드 쓸것.
느낀점:
우선 우리는 자본주의에 살고 있기 때문에, 돈의 양이 점점 늘어날 것이고, 따라서 돈의 가치는 점점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돈을 갖고 있는 것보다는 가치가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되는 실물 자산에 (실물가치의 우상향) 현재의 돈을 혹은 미래의 돈까지 레버리지 하여 투자하는 것이 자본주의에 사는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단, 레버리지 할때 영끌해서 감당하지 못할 수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미래의 가치를 잘 판단하여, 저평가된 물건에 투자를 해야한다. 그렇다면, 저평가된 물건을 어떻게 알아볼 것인가에 대해서 이후 강의에서 배워보면 될 것 같다.
투자에 앞서서 나의 기존 생활습관의 변화가 필요하다. Not A but B! 개인적으로 a가 아닌 b를 해야할큰 일이 생겼고, 지금이라도 내가 새로태어나듯 변화해야겠다고 느꼈다. 몇달전부터 뱅크샐러드를 통해 예산에 따른 소비를 하고 가계부로 예산에 맞게 지출되는지 자산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살폈다. 저축을 늘리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습관을 들이려고 한다. 문제는 앞으로 10년간 정해진 소비가 너무 큰데, 이걸 잘 감당하기 위한 시스템(?)을 만들어야한다. 근로소득을 아겨쓰는 것만으로는 해답이 나오지 않는다. 안정적인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클루를 찾을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댓글
꿈꾸는라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