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서울의 아파트를 세끼고 매수하려고 하는데
제가 지금 보고 있는 아파트는 공가거든요! (오늘 상태보고 왔는데 올수리 필요할 것 같습니다ㅠ)
이럴 경우, 제가 매수를 하면서 동시에 전세를 맞춰야 하는데
조건부 전세대출 규제 때문에 매수+매도+전세계약 동시에 못하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 시행 중이지 않은줄 알았는데,, 중개사분들마다 말씀이 다 다르더라구요ㅠ 시행 중이라는 분도 계시고,,,)
이럴 경우에는 매수+전세맞추기 어떻게 진행하면 될까요ㅠㅠ?!
투자 매수는 처음이라 사소한 내용이더라도 댓글 남겨주시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정리하면 상황은 이렇습니다!
(1) 서울의 투자용 아파트 매수 (전세 보증금 레버리지 활용)
(2) 지금은 공가이고, 매수하면서 전세를 맞춰야 함
(3) 올수리 필요함.. (샷시+주방+욕실)
(4) 지금 제가 살고 있는 전세금도 빼야함 (제 전세금으로 투자하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가자가자님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라면 1) 보고 계신 아파트의 가격이 가치 대비 싼지를 생각해 볼 것 같습니다. 보통 가치 대비 가격이 싸다는 말을 저평가 되어 있다라고 하는데요. 저평가라는 단어가 생소하시다면 이번 기회에 시간을 들여 부동산에 대해 공부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너나위님의 특강 or 너바나님의 열반스쿨 기초반 추천드립니다.) 2)보고 계신 아파트가 어딘인지 모르겠지만 저라면 전세를 맞춰야 하기에 기본적으로 인근 지역, 주변 아파트, 보고 계신 아파트의 전세 상황을 살펴볼 것 같습니다. 전세가 잘나가는지,잘나가지 않는지 등등에 따라 전세 잔금기간을 설정하기 위해서 입니다. 3) 아파트의 매매가 - 전세가 차이에 수리비를 포함한 가격을 실제 투자금으로 볼 것 같으며 보고 계신 단지에 비슷한 투자금에 더 좋은 조건의 물건이 없는지 혹은 더 상위 단지에도 비슷한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물건이 없는지를 단지내,인근 부동산을 다 들어가보며 찾아볼 것 같습니다. 4) 전세금을 빼야 하는 시점과 전세금을 빼는데 있어 변수가 없는지 생각해 볼 것 같습니다. 전세를 맞춰야 하는 경우 1) 전세대출 활용 대출 규제가 있는 1금융권과 달리 2금융권 일부는 조건부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하니 이자 등을 생각해보시고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전세입자를 승계하는 조건으로 매수 세입자를 구하신 다음 세입자가 가자님이 아니라 매도자분과 매매-전세 계약을 진행한 뒤 그 집을 가자님께서 승계 받는 조건으로 매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3) 현금 전세입자를 구하는 경우 현금(+신용대출) 전세입자를 구하는 경우 대출을 받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세를 끼고 매매가 가능합니다. 가자님의 첫 아파트 매수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우선 서울 주택의 경우는 조건부 전세대출이나 주택담보 대출 규제가 시행된것이 맞고, 제외가 되는 은행이 남아있긴합니다. 이런경우에는 수리여부를 매도인과 협의를 먼저해야하고, 그리고 세입자 분이 매도인과 계약을 한뒤 추후 승계를 받는 방법은 있습니다. 다만 이것또한 매도자와 잘 협의가 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가자가자님! 투자 알아보고 계시는군요! 일단 투자를 하신다고 하시길래 이런 말이 떠오릅니다.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팔아라' 실제로 보고 있는 것이 무릎정도의 가격인지, 허리정도의 가격인지 판단을 해보셔야 투자한 단지가 구매한 가격에서 하락을 하거나, 오르지 않아도 확신을 가지며 지킬 수 있을 것 같아요! 파도타기님 말씀처럼 강의와, 특강을 들어보시며 스스로 판단을 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현재 집이 공실이라면 매도자와 협의해서 비어있는 기간동안 수리 기간을 협의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조건부 전세대출이 현재 시행되지 않고 있는 곳이 많아 각종 은행마다 전화를 해보셔서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저는 부동산 사장님에게 대출상담사를 소개 받거나, 알고 있는 은행의 명함을 받아 전부 전화해봤습니다^^) 그리고 가자님의 전세금을 빼서 투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가자님의 이사 날짜가 먼저 정해져야 매수할 물건의 잔금날짜, 임차인 잔금날짜를 수월하게 조정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